중국 전기차 산업이 정부 지원과 가격 경쟁력 등을 기반으로 단기간 가파르게 성장함에 따라 우리 자동차 업계도 이에 따라 대비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8일 ‘중국 전기차 산업의 글로벌 확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최근 중국 자동차 산업 현황을 살펴보면, 내수 중심의 양적 팽창에서 해외 진출과 수출 확대, 차종 및 수출국을 다양화하는 질적 성장이 진행 중이다. 중국 자동차 산업은 자국 내수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출 구조 다변화를 통해 세계 1위 자동차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수출 구조도 다변화했다. 주요 차종은 상용차 중심에서 최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신에너지차 등 고부가가치 차종으로 확대됐다. 수출국도 최근 유럽 등 선진국 비중이 증가했다. 중국계 브랜드 주요 업체인 비야디(BYD), 지리(Geely), 상하이자동차(SAIC) 등은 현지 생산, 기술 제휴 등 해외 직접 투자 활동에도 적극적이다.
최근 전기차 중심 중국의 글로벌 확장은 정부 지원과 탄탄한 공급망 등 우수한 전기차 생태계와 치열한 내수 경쟁에서 성장한 로컬브랜드의 약진 등이 주요인인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 정부의 신에너지차(NEV) 산업 집중육성과 10년 이상 지속한 구매보조금 등 지원 제도, 보조금 기준 강화 등 구조 조정을 통한 로컬 브랜드의 기술경쟁력 제고를 촉진한 점이 세계 최대의 전기차 생태계를 조성했다. 전기차 핵심 소재 공급망에 대한 중국의 주도권 확보와 기업 차원의 핵심 소재 및 부품 수직계열화를 통한 가격 경쟁 확보로 치열한 전기차 전쟁 속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보고서는 중국 전기차 글로벌 확장 요인으로 △정부의 지속적인 육성 정책 △공급망 주도권 및 수직 계열화로 가격 경쟁력 확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성장한 중국 로컬브랜드 등을 지적했다. 중국 전기차 산업의 글로벌 확장에 따라 국내시장 진출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최근 전기차 시장이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으로 성장이 둔화 추세지만 앞으로 미래차 시장은 전기차가 대세를 이룰 것으로 본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국가전략기술 연구ㆍ개발(R&D) 투자 지원, 전기차 보조금 확대, 인력 양성 등 다양한 지원과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