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술 전 항암치료가 전 세계적인 조명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된 암 치료 관련 주요 임상 결과를 공유했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강북삼성병원 종양혈액내과 이윤규 교수는 "지금까지 암 치료는 일단 수술 후 항암치료를 진행하는 패턴이었지만 현재 수술 전 항암치료를 통해 수술 성적은 물론 전체 생존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ASCO와 같은 국제학회에서는 진단과 치료에 관련된 전문가인 외과, 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병리과 전문의들이 모두 모여서 결정하는 다학제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치료 방향에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다.
다제학적 암 치료가 도입되면서 일반적으로 수술 후 미세 전이 병소를 제거하기 위해 쓰던 보조 항암치료가 수술 전에 시행되고 있다. 이미 직장암, 유방암 등과 같은 암에서는 이 같은 선행항암치료 후 수술과 보조항암치료를 진행하는 순서가 정립됐다. 최근에는 대장암, 폐암, 비인두암, 육종 같은 종양에서도 수술 전 항암치료를 진행하고 있으며, ASCO에서도 관련 연구 데이터들이 발표됐다.
이 교수는 "수술 전 항암치료는 미세 전이 병변이 가장 작을 때 치료가 가능하며, 약제가 암에 잘 듣는지 여부도 미리 확인할 수 있다"면서 "다만 매우 초기 단계인 암도 항암치료하는 단점 등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주제인 '바이오마커의 시대'를 발표한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미소 교수는 "암 정밀 의학으로의 큰 패러다임 변화와 더불어 임상 연구에서 바이오마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ASCO 총회에서 발표된 4개 연구 중 하나인 POLO 연구를 소개했다. POLO 연구는 생식세포 BRCA 돌연변이(gBRCAm)를 가진 전이성 췌장암 환자에서 1차 유지요법으로서 올라파립의 효과를 확인했다.
유전성 유방암-난소암 증후군을 유발하는 gBRCAm는 전이성 췌장암 환자의 약 7%에서 발견된다. gBRCAm이 있는 전이성 췌장암 환자 중 최소 16주 이상 백금 기반한 항암치료를 받고 질병이 진행하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PARP 억제제인 올라파립을 투약했을 때 위약군과 비교해 우수한 무진행생존을 입증했다. 반응지속기간 역시 올라파닙 치료군에서 24.9개월로 위약군에서의 3.7개월에 비해 월등한 결과가 나왔다.
김 교수는 "전이성 췌장암에서 바이오마커를 찾아 표적 치료를 시행해 성공한 첫 번째 연구로 그 의미가 매우 크다"며 "여전히 미충족 수요가 큰 전이암 환자에서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발굴과 이를 토대로 한 임상연구가 지속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ASCO에서는 국내 연구자들의 구연 및 포스터 등 총 184건의 발표가 진행됐다. 아시아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페경 전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자 주도 임상이 주목 받았으며, 한미약품의 '벨베라페닙'의 1상 연구 결과 고무적인 반응을 얻으면서 이례적으로 구연 발표됐다.
강진형 대한항암요법연구회장은 "국내 연구진의 연구 성과가 크게 주목받으면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며 "앞으로도 국내 암 임상연구의 질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