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가 지난해 1분기 이후부터 경기 위축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장기침체에 대비해 투자 환경과 노동시장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세계 경기변동 국면 판단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선진국과 신흥국 경기가 하락세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4일 밝혔다.
한경연은 1991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 세계교역량과 산업생산물량을 분석한 결과, 세계 경제는 1991년 1분기 이후 총 6번의 경기변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가 느린 회복세를 보이며 등락을 거듭하다 2015년 1분기를 정점으로 확연한 하락세를 보였다.
변양규 한경연 거시연구실장은 “신흥국의 순환변동치가 2013년부터 정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다가 2015년부터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 경기 하락세 진입의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선진국도 순환변동치가 2013년부터 상승하다 2015년 1분기를 정점으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선 점이 경기 하락에 주된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흥국 중 특히 아시아 신흥국의 순환변동치 하락이 심했고 선진국 중에는 미국의 순환변동치 하락이 눈에 띈다”고 분석했다.
한경연은 최근 국제교역량 순환변동치의 하락세를 감안할 때 세계 교역량이 빠른 시일 내에 회복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이는 우리나라처럼 수출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세계교역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고 국제원자재 가격 약세가 지속되면서 신흥국 경기가 조속히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 고조에 따른 신흥국의 금융시장 불안정성 확대가 경기침체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한경연은 내다봤다.
또 변 실장은 “전 세계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2010년을 정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인구고령화로 인한 소비 위축이 내수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인구고령화로 노동투입 확대를 통한 생산증대도 어려울 전망”이라며 “경기침체 장기화에 대비해 경제구조를 개선하는 작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영환경 개선과 노동시장 개혁을 통한 투자와 소비의 회복 △서비스업 확대 및 서비스 수출의 확대 △국내 투자환경 개선을 통한 외국인 투자유치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