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내년 초·중·고교에 인공지능(AI) 교육과정을 도입한다. 그러나 교육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줄어들지 않고 있는 추세인 만큼 학교 현장 정비가 우선 돼야한다고 주문했다.
31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내년 초·중·고교에서 각 수준에 맞는 AI 수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학교급별로 개발해 보급한다. 특히 고교에는 내년 2학기부터 진로선택과목으로 ‘AI 기초’, ‘AI 수학’ 과목이 신설할 방침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의 반응은 조심스럽다. 교사들은 AI 교육의 필요성에 동의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혼란을 겪은 학교 현장을 정비하는 게 우선이라고 입을 모은다.
신현욱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 정책본부장은 “코딩이나 AI 교육 자체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새로운 과정을 준비하는 것보다는 코로나19 사태가 잘 마무리된 상황에서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AI 교원 연수나 교육이 준비돼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학부모들도 AI 교육 도입 계획에 냉담하다.
교육바로세우기운동본부 박소영 대표는 “앞서 소프트웨어(SW) 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의무화됐을 때만 해도 코딩을 배울 수 있다는 기대감에 교육 현장이 들썩였지만 실질적인 변화는 크지 않았다”며 “지금은 코로나19 사태로 혼란스러워진 학교 현장을 정비해야 하는 게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새해 교육부가 풀어야할 과제는 산적해 있다. 먼저 돌봄교실의 운영주체를 명확히 확립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돌봄교실 지자체 이관 문제를 둘러싼 갈등과 관련해선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돌봄전담사 근무시간 확대 등 학교돌봄 운영 개선 대책을 내년 상반기 중 마련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재원조달 등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원격수업 도입에 따른 학력 격차 문제도 숙제다. 교육부는 일단 내년부터 쌍방향 원격수업을 확대하고 원격수업 시스템 안정성, 콘텐츠 다양화, 교원 연수 등을 강화하기로 했다. 그러나 교육계에서는 반복되는 등교수업 중단으로 원격수업에 필요한 스마트기기와 데이터 이용료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