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악의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조선과 중공업 기업들이 구조조정의 고삐를 바짝 당기고 있다. 비핵심 자산 맥각과 임금을 줄이는 등 고강도 구조조정이 줄을 잇고 있다. 사장단 전원이 임금을 반납한 현대중공업을 비롯해 삼성엔지니어링은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1개월 순환휴직이라는 고강도 자구책을 공개했다.
실적 쇼크로 인해 자체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는 가 하면 매각, 위탁경영, 법정관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상화를 꾀하고 있다. 이 같은 특단의 조치가 기업들이 위기를 타개하고 조기 정상화하는 마중물이 될지 주목된다.
◇앞길 캄캄한 기간산업, 기댈 곳이 없다 = 최근 국내 대형 조선 3사가 총 2조5000여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내놓고 초긴축 경영에 돌입했다. 대우조선해양 1조8000억원, 현대중공업그룹 5000억원 이상, 삼성중공업 1500여 억원 규모다.
앞서 채권단 자구계획 내용을 발표한 대우조선은 부동산 등 비핵심 자산을 전량 매각해 7500억원을 조달하고 향후 3년간 인적 쇄신, 공정 준수를 통한 지연배상금 축소 등으로 1조1000억원 이상을 절감하는 계획이다. 이에 지난 8월 이후 본사 임원을 55명에서 42명으로 30% 줄였다. 남은 임원들은 기본급의 10∼20%씩을 반납하도록 했다. 이달 말까지 희망퇴직과 권고사직 등을 통해 부장급 이상 1300명 중 300명도 감축한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제2의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흑자로 돌아설 때까지 사장단 전체가 급여를 전혀 받지 않는 초고강도 긴축경영안이 전격 발표됐다. 사장단 7인과 임원 300여 명, 조선 계열사 부서장급 450여 명의 급여 수준을 감안할 때 연간 250억원 정도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삼성중공업도 임원 감축과 비효율 자산 매각 등을 단행하고 있다.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임원 감축과 비효율 자산 매각 등의 구조조정을 밝힌 삼성중공업은 계획대로 시행 중이다.
이같은 대형 조선사 중심의 자구책은 앞으로 상황도 녹록지 않다는 방증이다. 손실 주범인 해양플랜트 부실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고 불황이 길어지면서 컨테이너선과 유조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선박 발주가 줄고 있다.
◇‘매각 vs 위탁경영’…각 채권단 이해관계 얽혀 혼란 = 이달 말 발표 예정된 채권단 STX조선해양의 실사 결과에 관련 업계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채권단 안팎에서는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가능성이 회자되면서 향후 금융당국의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방식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STX조선해양은 채권단 자율협약을 맺은 지난 2013년 4월부터 4조원 이상을 지원 받았다. 그러나 적자 누적으로 마이너스 1조8945억원의 완전자본잠식에 빠지면서 경영난 해소가 힘든 상태다.
그동안 조선업계 구조조정은 짝짓기식 구조조정과 통폐합 방안이 주로 접목됐다. 그러나 대형 조선사들이 해양플랜트 손실로 최악의 실적 부진을 보이면서 중소조선사를 거둘 여력이 없어지면서 매각 또는 법정관리 같은 극단적인 방향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실제로 SPP조선이 매각 절차를 밟고 있으며 세 번의 매각 시도가 불발된 신아SB는 파산절차를 밟고 있다. 반면 성동조선해양은 삼성중공업 위탁경영을 받으면서 정상화를 꾀하고 있다.
한편 조선업계 외에도 삼성엔지니어링과 두산인프라코어 등 중공업 분야 기업들도 상황이 녹록치 않다. 3분기 1조원 넘는 손실을 낸 삼성엔지니어링은 재무구조 개선의 일환으로 전 직원 대상으로 1개월 무급 순환휴직을 실시한다. 두산인프라코어 역시 악화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매년 2000억원 가량의 수익을 내고 있는 알짜 사업인 공작기계 부문을 매각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