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주에 위치한 A자동차부품업체 대표이사가 기자를 만나 꺼낸 첫 마디다. 이 회사는 대기업 1차 협력사로 자동차부품업계에선 덩치가 큰 중견기업에 속한다. 대졸 신입 초봉도 4000만원대 이상으로 웬만한 대기업 신입직원보다 연봉 수준도 높다. 이런 회사가 '젊은 인력이 찾질 않는다'고 하소연을 하는 것이다.
다른 지방 중견기업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가장 큰 애로점을 물었더니 대부분 인력 문제를 꼽는다. 젊은 인력을 핵심 인재로 키우려는 회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있던 인력마저 버티지 못하고 떠나는 게 일상이란다. B중견기업 대표는 "최근 또 젊은 친구가 사직서를 냈길래 이유를 물었더니, 결혼하려고 하는데 여자친구가 지방 중소기업에 다니는 걸 반대해서 그랬다더라"며 "극단적인 사례이긴 하지만, 젊은 층의 사고방식이 아직까지 대기업, 수도권, 대도시에 쏠려있는 것을 반증하는 일화"라고 안타까워했다.
이 같이 중소ㆍ중견기업들은 다른 것보다 인재 유치에 대한 갈증이 심하다. 정부도 이런 애로를 알기 때문에 다양한 중소ㆍ중견기업 인재유치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성과보상공제 '내일채움공제', 중견기업 전용 인재확보 프로그램인 '희망엔지니어적금' 등이다. 기업이 매칭을 통해 향후 장기재직한 인재들에게 목돈을 제공하는 제도다.
정부는 이 같은 제도들이 큰 호응을 받고 있다고 선전한다. 하지만 저 끝자락에 있는 지방 기업들에게까진 미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실제 지방 중견기업들을 직접 돌아보니, 이 같은 정부 사업들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기업들이 태반이었다. 아직까지 홍보가 부족한 탓이다. 현장에서 체감이 가능해야 하는데, 위에서만 자화자찬하는 게 아닌지 우려되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