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는 그만큼 혹독하고 가혹한 시간이었다고 관계자들은 말한다.
그만큼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검사 과정에서 금감원이 다소 합법적(?)이지 않은 무리한 자료를 요구했다는 주장도 제기됐으며, 이같은 주장을 제기한 자산운용사에 ‘괘씸죄(?)’가 적용됐다는 자산운용사와 금감원 간의 물밑 ‘설전’이 오가기도 했다.
또 유독 잘 빠져나가는(?) 한 자산운용사에 대한 온갖 비방이 난무하기도 했으며, 검사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이미 모 자산운용업계가 어떤 죄목(?)으로 몇 명이 걸렸다더라는 ‘카더라’ 통신이 업계를 휩쓸며 ‘흉흉‘한 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했다.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한 대대적이고 꼼꼼한 검사에 당황한 분위기를 반영한 모습들이었다.
물론 금감원 측에서는 정기적인 검사의 일환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7개 자산운용사에 대해 일괄적으로 그것도 펀드매니저의 개인적인 메신저 내역까지 일일이 들추는 고강도 현장검사를 실시했다. 거기다 징계조치가 마무리되기도 전에 조사 결과를 발표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특히 금감원 측이 자산운용업계가 운용하는 펀드의 수익률까지 일일이 들춰봤다는 사실이 전해지면서 자산운용업계는 당혹감과 함께 불만도 내비치고 있다.
한 업계관계자는 “막말로 꼬투리를 잡겠다고 작정하고 조사하면 문제가 안 나올 금융회사는 단 한 곳도 없을 것이다. 물론 업계가 잘못한 것도 있지만 그동안 아무 문제가 없었던 부분까지 문제라고 지적하며 이렇게 몰아가는 것을 보니 참담하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자산운용업계의 심정이 이해되지 않는 것도 아니다. 금감원과 감사원과의 미묘한 신경전으로 오해를 사기 좋을 시기에 조사가 들어갔다는 점과 다소 이례적이라 할 만한 강도 높은 조사라든지 말이다.
하지만 이것 역시 생각해줬으면 한다. 때론 ‘아픈’ 매를 들어야 하는 것이 금감원의 역할임을 말이다.
매를 든 금감원도, 매를 맞은 자산운용업계도 결국 원하고 바라는 것은 하나일 것이다. 금융투자업계가 금융소비자들에게 신뢰도를 회복해 자본시장이 살아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