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 이틀째인 17일 정부는 잠수부와 항공기 그리고 선박 및 인양크레인 등을 동원, 생존자 구조 작업을 위해 총력에 나섰다.
이날 연합뉴스에 따르면 세월호 내부로 직접 진입해 구조 활동을 벌일 잠수부는 555명으로 크게 늘었다. 이들은 해양경찰청·해군·소방본부 소속으로 민간 잠수부들 또한 속속 현장으로 모여들고 있다.
그러나 사고 현장인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북쪽 3km 해상은 파도가 굉장히 강하고, 수중 시야가 수십㎝에 불과해 잠수부들이 지금까지 십여차례 선박 내부 진입을 시도했지만 수색에 난항을 겪고 있다.
먼저 본격적인 수색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여객선의 머리와 꼬리를 잇는 ‘탐색줄’ 연결로 이 줄이 있어야 잠수부들이 배 안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탐색줄이 연결되고 선체 진입로가 확보되면 그때부터 잠수부가 집중적으로 투입, 배 설계도를 바탕으로 선실을 일일이 확인하게 된다.
또 구조 활동을 벌이기 가장 좋은 시간은 밀물과 썰물이 없는 정조시간으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정조시간인 △오전 7시 △오후 12시45분 △오후 7시 전후에 잠수부들이 집중적으로 수색을 벌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물 위로 드러나 있는 선체에서 생존자로부터 신호가 온다면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거나 배를 위에서 뚫고 들어갈 수도 있다. 그러나 배를 망치로 두들겨 내부에 신호를 보내고 있지만, 아직은 아무런 반응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세월호에 공기를 주입해 선체를 조금이라도 더 들어 올려 실종자의 생존 확률을 높이는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세월호가 워낙 큰 규모의 여객선이어서 진행이 원활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18일에는 선박 인양을 위한 2000∼3000t급 크레인 3척이 현장에 도착한다. 세월호가 바닥 밑바닥에 박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크레인이 배를 부양해 구조 작업이 쉬운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배가 뻘에 완전히 박힌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배를 강제 이동시키는 것이 생존자에 미칠 영향을 고려, 당분간 잠수부를 계속 투입해 구조 활동을 펼치게 된다. 이 결정은 해군과 경찰 및 민간 전문가들이 현장을 조사하고 합동으로 내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