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21일 발표한 경제 기조는 이명박 정부와는 완전히 차별화됐다.
경제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과거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성장과 일자리를 동시에 추구하며 모든 정책의 출발점을 일자리에 뒀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다. 이른바 ‘창조경제론’이다. 또 다른 점은 이명박 정부가 수출과 대기업 위주의 성장 정책을 펴온 반면, 박근혜 정부는 내수 중심의 중소기업 강화를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이 제시한 5대 국정목표는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맞춤형 고용·복지 △창의교육과 문화가 있는 삶 △안전과 통합의 사회 △행복한 통일시대의 기반 구축이다.
5년 전 이명박 대통령은 5대 국정지표로 △활기찬 시장경제 △인재대국 △글로벌 코리아 △능동적 복지 △섬기는 정부를 내세운 바 있다.
박 당선인은 첫 번째 목표로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를 제안하며 경제성장률 목표치 대신 현재 60% 수준인 고용률을 70%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747공약(7% 성장, 4만달러 소득, 세계 7대 강국)을 약속했었다.
창조경제의 3대 핵심 분야는 물류, 의료, 교육, 영화·게임 등 창조형 서비스 산업과 융복합 제조업, 생활형 복지산업이다. 기존의 기술과 지식을 융·복합해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중소기업을 집중 육성, 이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이뤄내고 동시에 성장도 이뤄내는 게 박 당선인의 구상이다. 특히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을 기본 토대로 상호 융합을 통해 시너지를 낸다는 계획이다. 신설된 미래창조과학부가 이런 박 당선인의 구상을 뒷받침하는 핵심 부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정권은 그간 지식경제부를 중심으로 수출·제조업·대기업 중심의 성장을 해왔다.
그러나 박 당선인의 의지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성장률이 뒷받침되지 못 할 경우 구조적 변화만으로 고용률을 올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명박 정부의 경우 성장률 연평균 7%를 목표치로 제시하고도 5년 동안 연평균 2.9% 성장에 그쳤고, 일자리도 125만개밖에 만들지 못했다.
박 당선인 측 관계자는 22일 “고용률을 70%로 올리기 위해선 150만개의 일자리가 더 만들어져야 하고, 4% 이상의 성장률이 유지돼야 가능하다”며 “박근혜 정부도 내부적으로는 성장률 목표치를 잡고 그에 맞춰 정책의 속도 조절을 해나가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현재 세계적 경제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을 감안해서라도 새 정부 역시 단기적인 경기부양 대책을 추가로 내놓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인수위 관계자는 “아직 경기부양과 관련한 구체적 계획을 갖고 있지 않지만, 필요하다면 언제든 쓸 수 있는 카드”라고 말했다.
다만 박 당선인 측은 부양책을 쓰더라도 이명박 정부가 단행했던 단순 부양책 대신 취약계층과 경제체질을 개선하는 데 주안점을 두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