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1800개 중국 기술기업 확보...미국 제재 탈피 목적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16년 자문기구인 ‘정보기술응용혁신위원회’를 신설하고 이 같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준정부기구인 위원회는 현재까지 은행과 데이터 센터 등에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자국 기업 1800개를 엄선했다. 1800개 기업엔 PC와 반도체, 네트워크와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등이 다수 포함됐다. 특히 올해 들어 수백 개 기업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는데, 최근 몇 년 새 가장 빠른 작업 속도로 전해졌다.
당국은 위원회가 엄선한 기업 명단에서 필요에 따라 서구 기술기업의 자리를 대체할 준비를 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가 중국 기업을 제재하는 ‘블랙리스트’를 만들자 중국은 ‘화이트리스트’를 만들어 맞서는 모습이다. 블룸버그는 중국 당국이 자국 기술로 대체하려는 영역은 2025년까지 총 1250억 달러(약 148조 원) 가치를 보유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리서치 업체 게이브칼드래고노믹스의 단왕 애널리스트는 “미국 기술이 수출 제재를 피해 중국으로 들어올 수 있을지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며 “이에 중국은 국산 기술을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정치적 목표를 함께 하려는 중국 기업들의 노력도 심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자국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 외에도 이미 자국에 들어와 있는 서구 기업에 대한 압박도 강화하고 있다. 최근 당국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MS) 등과 같은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에 본토에서 운영할 합작투자사를 설립할 것을 강요했으며, 중국 구이저우성에 데이터센터를 가동하기 시작한 애플은 이용자 정보 관리 권한을 구이저우 정부에 양도한 상태다.
중국이 반격을 준비함에 따라 기술 산업을 둘러싼 미·중 갈등은 더 커질 전망이다. 전날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1단계 무역협정 이행을 촉구했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미국이 국가안보를 이유로 자국 기업을 억압하고 있다고 지적하는 등 양국 의견은 평행선을 달렸다.
블룸버그는 “중국은 민감한 영역에서 외국 기술 기업을 대체할 수 있는 자국 기업을 지원해 미국 제재를 극복할 추진력을 키우고 있다”며 “중국 화이트리스트의 존재는 미국과의 긴장을 고조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