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가 국내 최초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속 분자진단검사를 도입한 이후 대학가에 관련 논의가 확산하고 있다.
12일 대학가에 따르면 경희대·건국대·서강대·한양대 등은 비대면 수업에 따른 학사 운영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서울대의 신속 분자진단검사 시스템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경희대 관계자는 “아직 정확성과 관련해 검증되지 않았기 서울대의 실험이 마무리될 때까지 지켜보자는 입장”이라며 “유의미한 결과가 과학적으로 나오면 적극적으로 도입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는 지난달 26일부터 자연대학 소속 학생·교직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신속 분자진단검사를 도입했다. 콧구멍 깊숙이 면봉을 넣어 비인두도말에서 검체를 채취해 보관함에 넣으면 2분 만에 검사가 끝나고, 1~2시간 후에 검사결과를 문자로 받아보는 방식이다. 서울대 학생이나 교직원 중 희망자들은 원스톱 신속진단검사센터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해당 검사는 다음 달 14일까지 운영된다.
건국대 관계자는 “검사의 안정성과 신뢰성, 정확성 부분을 가장 중요히 살펴보고 있다”며 “혹여나 정확한 검사가 되지 않았을 경우 확진자와 수업을 같이 듣는 학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부분을 감안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대부분의 대학은 서울대의 신속 분자진단검사를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한양대 관계자는 “검토단계라 하기는 아직 조심스럽고 서울대에서 운영하는 것을 보고 끝까지 정확한 결과가 나오고 잘 운영되면 빠르게 벤치마킹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신속 분자진단검사 비용은 고민거리다. 서강대 관계자는 “검사를 신속하게 하면 좋겠지만 예산이 만만치 않을 것 같다”며 “대부분 대학이 현재 재정적으로 어렵다”고 토로했다.
건국대 관계자도 “신속 검사의 정확성과 비용, 사업비 문제가 걸린다”고 말했다. 이화여대는 예산 문제로 신속 분자진단검사 도입 논의를 하지 않고 있다.
한편 교육부는 서울대의 신속 분자진단검사의 효용성을 지켜보고 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달 말 열린 '대학 방역 관리 전담팀(TF) 확대 회의'에서 "서울대가 최근 도입한 신속 유전자증폭(PCR) 검사 방법에 대해서도 활용 과정과 결과를 확인해나가고 필요하면 이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