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가 10년 만에 다시 기업 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는다. 업계에서는 대규모 실직 사태를 막기 위해 법원이 청산보다는 새로운 인수자를 찾아 쌍용차를 살리는 방안을 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회생법원은 15일 쌍용차에 대한 기업 회생절차를 개시하기로 했다. 2011년 3월 쌍용차가 법정관리를 졸업한 지 10년 만의 일이다.
법원은 쌍용차가 지난해 12월 21일 기업 회생과 함께 신청한 자율 구조조정 지원(ARS) 프로그램을 승인하며 두 차례에 걸쳐 회생 개시 결정을 미뤄왔다. 하지만, 쌍용차의 유력 투자자로 거론된 HAAH오토모티브가 투자의향서(LOI)를 제출하지 않자 더는 지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이달 들어 회생 절차 개시 절차를 밟았다.
법원은 회생 절차에 돌입해도 기간을 단축해 신속히 결론을 내리겠다는 뜻을 쌍용차에 전달한 바 있다. 일단 법원은 조사위원을 선임해 쌍용차의 재무 상태를 정밀 실사할 전망이다. 조사위원은 쌍용차의 재무 상태를 평가해 회사의 회생 가능성에 관한 보고서를 낸다.
조사위원이 회생 절차를 지속하자는 의견을 제출하면 관리인은 회생 계획안을 작성한다. 기업을 청산하는 편이 낫다고 판단되면 청산 보고를 낼 수도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쌍용차가 갚아야 할 공익채권이 3700억 원에 달해 청산가치가 더 높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내년에 대통령 선거가 예정된 만큼, 정부가 대규모 실업 사태를 감당하기보다는 회사를 살리는 선택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에 따라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ㆍ합병(M&A) 절차를 통해 새 투자자를 확보하고 유상증자 등 투자계획을 반영한 회생 계획안을 만드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법원이 공개 매각을 진행하면 HAAH오토모티브도 입찰에 참여할 전망이다. 이외에도 국내 전기버스 제조사 에디슨모터스, 전기차 업체 케이팝모터스, 사모펀드 계열사 박석전앤컴퍼니 등이 인수 의향을 보인 상태다.
다만, 이들의 자금력이 미흡하고 구체적인 인수 계획이 검증되지 않은 만큼, 실제 인수가 가능할 것인지 의문을 표하는 시각도 많다. 일각에선 이들 업체가 이름값을 높이기 위해 인수 의향을 드러내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에 따라 여전히 HAAH오토모티브가 쌍용차의 가장 유력한 인수 후보로 꼽힌다. 미국의 자동차 유통사인 HAAH오토모티브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쌍용차 인수에 관심을 보여왔다. 다만, HAAH오토모티브가 투자자를 설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향후 투자자의 마음을 돌릴 수 있을지가 인수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HAAH오토모티브의 투자자들은 3700억 원 규모의 공익채권에 부담이 있고, 쌍용차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쌍용차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극심한 경영난에 빠지며 2009년 1월 기업 회생을 신청했다. 당시 법원은 회생을 위해 인적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쌍용차는 전체 임직원의 36%인 2600여 명을 정리해고했다. 이른바 ‘쌍용차 사태’가 촉발된 이유다. 노동자들의 공장 점거 농성 등 큰 상처를 남긴 쌍용차 사태는 2018년에야 해고자가 전원 복직되며 봉합됐다.
이번에도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지만, 노조가 구조조정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고 사 측도 2009년과 같은 갈등을 되풀이하지 않길 원하고 있어 강제적인 정리해고가 단행될 가능성은 작다. 그 대신, 임금 삭감과 생산성 제고 방안 등이 회생 계획안에 담길 전망이다.
공개 매각으로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되고 투자계획이 담긴 회생 계획안이 제출되면 법원은 채권단에 이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는다. 채권단이 동의하면 법원이 이를 토대로 회생 계획안을 인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