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마이크 갤러거 컨티눔이코노믹스 이사는 “8~9% 성장률은 가능하지 않다”며 “장기적으로 봤을 때 3% 성장도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감세 혜택이 투자를 촉진하고 소비를 장려한 것은 맞지만 그 효과는 일시적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27일 “무역 적자를 반으로 줄이면 8~9% 성장률도 가능하다”고 말한 것을 정면으로 반박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발표된 미국의 2분기 GDP 성장률 속보치 4.1%에 대해서 “디딤돌 일 뿐”이라며 “다음 분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분기별 성장률을 언급한 것인지, 아니면 연간 성장률을 언급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갤러거 이사는 “내년 말까지는 효과가 지속되다가 2020년이 되면 재정정책이 긴축 방향으로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인상하고 있기 때문에 2020년에는 성장률이 2% 대에 머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감세 정책이 정부 부채를 악화시켜 또 다른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감세 정책을 하면서도 정부 지출은 줄어들지 않았다는 것이다. 로빈 뷰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유닛 최고경영자(CEO)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장기적인 변화를 가져오진 못할 것”이라고 경종을 울렸다.
그러나 감세 혜택이 일시적인 효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미키 레비 버렌버그 이코노미스트는 “개인 지출의 바탕이 되는 고용과 가처분소득, 경기신뢰도 등의 지표가 증가해 기초가 건실하다”며 “감세 정책에 반응하는 것은 기업들”이라고 말했다. 이어 “법인세 개혁과 규제 완화 등 기업에 돌아가는 혜택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정책의 효과는 일시적이지 않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