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Fed)이 급격히 자산축소를 단행하더라도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다만 축소 규모에 따라 영향력이 미치는 기간은 차이를 보였다. 우선 연준이 1조2000억달러를 축소할 경우 우리 경제성장률은 2020년 9월 0.014%포인트까지 하락압력을 받은 후 2022년 3월 플러스로 회복했다. 반면 2조1000억달러어치를 축소하면 2020년 9월부터 2021년 6월까지 4분기 동안 0.014%포인트씩 하방압력을 받은 후 2022년 12월까지도 마이너스 압력을 회복하지 못했다.
연준의 자산축소에 따라 미국 장기금리가 상승하면 국내 장기금리도 오를 개연성이 있다고 봤다. 다만 미국 장기금리가 연평균 12~14bp 상승한다고 가정할 경우 국내 장기금리는 7bp 내외 상승에 그칠 것으로 추정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 6월 FOMC 회의에서 보유자산 축소의 구체적인 방식을 공개하고 경제상황이 예상대로 진전된다면 올해 안에 보유자산 축소를 시작할 방침임을 공표한 바 있다. 다만 기존 보유자산에 대한 공격적 매각이 아닌 만기도래시 재투자를 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또 4조5000억달러에 이르는 보유자산을 금융위기 이전 수준인 9000억달러로 환원시키기보다는 그간 부채항목 증가를 반영해 2조4000억달러 내지 3조3000억달러 수준까지만 감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넷 옐런 연준 의장도 지난 6월 FOMC 기자간담회에서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으로 수행해왔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한은 관계자는 “금융시장의 낙관적인 기대 및 위험추구 성향, 신흥시장국 부채 증가세 등 리스크 요인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글로벌 리스크 지표가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에 근접하는 등 위험추구 성향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며 “향후 예기치 않은 충격 발생시 부정적 영향이 증폭될 소지는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