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만난 현시환 대우조선해양 노조위원장의 말이다. 고재호 사장의 임기가 20여일이 채 남지 않았지만, 후임 사장에 대한 공식적 논의가 없어 수주 활동이 사실상 멈췄다는 지적이다.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을 주축으로 베일에 싸인 채 진행되고 있는 사장 선임 탓에 직원들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구체적인 이름까지 거론된 외부인사, 즉 낙하산 인사의 인선 가능성까지 나오면서 내부적으로 혼란에 휩싸였다. 주인 없는 회사의 비애가 3년마다 한번씩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의 전신인 대우중공업은 지난 1999년 8월 대우그룹 유동성 위기로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이후 2001년 공적자금 2조9000억원이 투입돼 워크아웃에서 회생했다. 현재 지분 31.5%를 보유한 산업은행이 최대주주다. 이어 금융위원회와 국민연금공단이 각각 12.2%, 8.1%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절반 이상을 국가가 소유하고 있는 준공기업인 셈이다. 지분구조로 볼 때 사장 인사권은 산업은행이 갖고 있지만 정부의 사인을 기다려야 하는 애매한 구조다.
대우조선해양 출신이 아니더라도 정부와 산업은행의 이해에 따라 외부인사가 언제든지 수장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 구조다. 전형적인 낙하산 인사가 가능한 조직이기도 하다.
조직의 응집력을 모으기 위해선 최고경영자는 회사를 잘 알고 있는 내부 인사로 임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회사의 정서와 문화를 모르는 낙하산 사장은 직원들의 저항만 키울 뿐이다.
대우조선해양 사장의 임기는 3년이다. 조선업의 특성상 임기 내 수주와 해외시장 개척 등의 실적을 모두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회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사장의 임기를 늘려 사업의 연속성을 갖는 것도 중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