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으로 일본 주식시장이 요동치면서 일본증시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일본증시 주가 급락으로 지금이 투자적기라는 의견과 엔화 강세·장기불황 요인을 고려할 때 불확실성이 더 높아졌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최근 보도했다.
금융정보업체 톰슨로이터에 따르면 지난 16일(현지시간)까지 한주간 일본 투자 펀드에 사상 최대 자금이 몰렸다.
같은 기간 미국에 상장된 일본 주식형 뮤추얼펀드와 일본증시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 몰린 자금은 9억5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주간 규모로는 사상 최대로 이전 최대치(2005년 11월)의 2배에 가까운 액수다.
일반적으로 재난 이후 증시가 가파르게 반등한다는 기대감이 작용했다고 FT는 전했다.
HSBC의 개리 에반스 애널리스트는 지난 20년간 전 세계에 발생한 재해와 사건으로 인한 주식시장의 변화를 연구한 결과 “대형 사건·사고가 발생한 지 평균 100일이 지나면 재난 이전보다 반등한다“고 말했다.
에반스 애널리스트는 “주식시장은 재난 발생 직후 평균 6~8%대 하락한 뒤 최소 한달간 극심한 변동장세를 나타낸다”며 “일반적으로 28~78일이 경과하면 주식시장은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일본 주식이 추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여전하다.
대지진 참사 이전부터 일본경제가 장기불황을 겪고 있었던데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엔화가 강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지난 20년간 침체에 허덕이던 일본 경제가 막대한 유동성만으로 경기를 인위적으로 부양하기는 힘든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재정적자는 특히 일본 경제의 최대 아킬레스건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올해 일본 재정적자는 지진이 아니더라도 국내총생산(GDP)의 7.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대지진으로 인한 복구비용은 일본 경제에 막대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엔화 강세도 수출업체에 부담이 되면서 주식시장에 악재가 될 수 있다고 FT는 분석했다.
지난 11일 주요 7개국(G7)이 외환시장에 공동 개입하면서 엔화는 약세로 전환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