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정부가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인가를 놓고는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금리인상 단행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많았지만 남유럽재정 위기가 다시 불거지고 천안함 사태 여파로 북한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분위기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금리인상 필요성을 지난해 연말부터 제기해왔던 한국개발연구원은 여전히 통화정책을 조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임경묵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제조업 가동률 등을 볼 때 한국 경제가 금융위기 이전 수준의 원상회복은 이미 넘어선 것으로 본다”면서 “실물경제가 단기적으로 불안하기는 하지만 현재 금리가 너무 낮아 정상화해 놓지 않으면 이후 정책 수단이 적어진다”고 밝혔다.
임 연구위원은 “현재 금리가 낮은 상태로 유동성이 늘어나면서 단기 금융상품에 돈이 많이 들어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아직까지 부동산 등 자산가격이나 물가 인상이 크게 나타나지 않고는 있지만 저금리가 지속되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최근의 남유럽 재정위기와 북한 리스크로 불안정성이 높아지면서 출구전략이 더 미뤄질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연구조정실장은 “경기회복이 진행되고 수요가 늘면 결국 물가상승 압력이 작용하면서 이를 막기 위해 금리인상을 단행한다”면서 “ 유럽 재정 위기 등으로 경기 회복 둔화 전망이 나오는 등 유동성 위축 우려로 올리기 어려워진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오 실장은 “금리 인상이 이르면 3분기 이루어질 겄으로 예상했지만 불안요인 때문에 더 미뤄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지금으로서는 서두를 상황이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