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기존의 자사주 관행을 수정할 움직임을 보이자, 증권가에서는 좋은 자사주 매입과 나쁜 자사주 매입이 뚜렷하게 구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13일 김수현 DS투자증권 센터장은 “기업의 거버넌스 개선, 주주 권리 개선 노력을 위해 금융위원회도 조만간 구체적인 정책을 논의할 전망”이라며 “자사주 매입 후 소각 의무화와 인적분할 과정에서 자사주에 대한 신주 배정 금지가 그 대상”이라고 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이 관행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자사주를 매입하더라도 시장 상황에 따라 기업이 다시 되팔기도 해왔다. 이 탓에 미국에서는 자사주 매입이 주가 상승으로 연결됐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김 센터장은 국내 기업의 자사주 매입을 △선의의 자사주 매입 △경영권 방어 목적의 자사주 매입으로 구분했다. 그는 “주주를 위한 좋은 자사주 매입은 소각까지 진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다수 국내 기업의 자사주 매입은 후자인 경영권 방어 목적이라고 했다. 김 센터장은 “인적분할 과정에서 자사주에 대한 신주를 배정하는 소위 자사주의 마법 효과, 지배력 안정을 위해 자사주 매입 후 우호세력과 해당 자사주를 교환하는 방법”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도입되면 좋은 자사주 매입과 나쁜 자사주 매입이 뚜렷하게 구별될 것”이라며 “좋은 의도(주주 환원)를 가진 기업만이 자사주 매입을 할 것이기에 희소성도 높아져 추가적인 밸류업도 가능”이라고 분석했다.
또 “지난 3년간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가장 많이 진행한 기업은 제도 변경 이후에도 자사주 매입, 소각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자사주 보유 비율이 높은 종목들의 리스트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 센터장은 “제도 변경 이후 기존 자사주 처리 방식에 따른 다운사이드 리스크 혹은 업사이드 포텐셜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