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의 지난 3일 기준 주택담보대출의 변동금리는 연 2.80~4.30% 수준이다. 약 3개월 전인 5월 말(2.35~3.88%)과 비교해 약 0.5%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신규 코픽스가 아닌 신(新)잔액 코픽스를 따르는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도 같은 기간 2.284~4.01%에서 2.673~4.38%로 상승했다. 최저, 최고금리가 각각 0.389%포인트, 0.37%포인트 올랐다.
신용대출의 경우 지난 3일 기준 3.00~4.05% 금리(1등급·1년)가 적용된다. 5월 말(2.564~3.62%)보다 상·하단이 모두 0.43%포인트 정도 뛰었다.
하지만 지난 3개월간 신규 코픽스는 불과 0.13%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경우 지표금리로 코픽스를 활용하는데, 이와 비슷하게 대출금리가 움직이지 않은 것이다. 이번 대출금리 상승을 지표금리 상승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대목이다.
신용대출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신용대출 금리는 주로 은행채 6개월·1년물 등 금융채 단기물 금리를 지표로 삼는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5월 말 0.935%에서 이달 3일 현재 1.250%포인트로 약 3개월 새 0.315%포인트 높아졌다. 이 기간 실제 4대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 인상 폭은 0.43%에 이른다.
결국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더 올렸거나 우대금리를 줄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최근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줄이라고 압박하는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은행은 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가산금리 인상 및 우대금리 축소가 불가피하다.
당장 신한은행은 오는 6일부터 전세자금 대출금리를 0.2%포인트씩 더 높이기로 했다. KB국민은행도 같은 이유로 앞서 3일 신규 코픽스를 지표금리로 삼는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우대금리를 0.15%포인트 낮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