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은 2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사전 제출한 업무현황 보고서에서 “앞으로도 통화정책은 성장세 지속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완화기조를 유지하되,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는 거시경제 흐름과 금융안정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 나갈 계획”이라며 “향후 입수되는 지표를 바탕으로 대내외 여건의 변화와 국내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인사말을 통해 “앞으로 통화정책은 우리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완화기조를 유지하면서 새로 입수되는 지표를 바탕으로 성장과 물가의 흐름, 그리고 금융안정 상황을 모두 면밀히 점검하면서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리인상을 강력히 시사했던 문구인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 대목이 사라진 것이다.
이 같은 입장 변화는 위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명백해졌다. 2.6%로 예상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하향조정할 수 있음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경기에 하방 위험이 있는 상황”이라며 “다음 달 전망 결과를 내놓아봐야 알겠지만 2.6%는 1월 전망이다. 두 달간 많은 것, 특히 대외적으로 변화가 많았다”고 말했다.
전제를 달긴 했지만 급기야는 금리인하 가능성도 열어뒀다. 그간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결정 직후 기자회견 등에서 금리인하를 논의할 때는 아니라고 잘라 말했던 것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이 총재는 “현 상황이 리세션(경기침체)은 아니다”면서도 “경기 여건이 전보다 많이 나빠졌다. 하방위험이 확대된 만큼 상황이 많이 나쁘다면 금리인하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10조 원가량의 추경편성과 관련해선 긍정적 반응을 내놨다. 이 총재는 “거시경제 측면에서만 보면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며 “추경 10조 원이면 GDP(국내총생산) 0.5% 정도(규모)다. 성장제고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추경 편성이 필요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엔 즉답을 피했지만 사실상 필요성을 인정한 셈이다.
채권시장의 한 참여자는 “이 총재의 언급이 원론적이었던 것 같았다”면서도 “대신 이전보다는 경기둔화 시 금리인하 쪽을 완전히 닫아 놓지 않은 것 같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