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20대 총선 지역구 공천자를 여론조사 경선을 통해 확정 짓기로 하면서 약 70억 원에 육박하는 여론조사 비용이 투입되고 있다. 해당 비용은 지역구 후보자들이 부담하는데, 1인당 적게는 1077만원 많게는 4000만원에 이른다.
새누리당은 100% 국민여론조사로 진행되는 100% 국민경선제와 책임당원 30% 국민 70%를 반영하는 방식 중 선택해 경선을 치르고 있는데, 한 지역구당 드는 여론조사 비용은 4300만원으로 파악됐다. 여기에는 여론조사 경비와 여론조사기관이 통신사로부터 받는 안심번호 전환(이동통신사가 실제 휴대전화번호를 가상번호로 바꾼 것) 비용이 포함돼 있다.
새누리당은 일명 ‘경선기탁금’이라는 명목으로 지역구에 출마한 예비후보자들에게 N분의 1로 나눠 여론조사비용을 부담하게 했다. 예비후보가 2명일 경우 1인당 2154만원, 3명인 곳은 1인당 1436만원, 4명인 경우에는 1077만원 씩 당에 지불했다.
당은 후보자들로부터 받은 돈으로 각 지역구에 여론조사 기관 2곳을 랜덤으로 선정, 각 업체에 1000명씩 할당해 총 2000명의 국민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도록 했다.
현재 새누리당은 지역구 253곳 증 249곳의 공천방식을 확정하고, 현재 141곳에서 경선이 완료됐거나 실시 중인데, 141개 지역구 여론조사비용으로 들인 돈만 60억6300만원에 달한다. 여기에 여론조사 결과 1,2위의 격차가 10%포인트 이내면 실시하는 결선투표 비용까지 포함하면 어마어마한 비용이 투입되는 것이다.
이번에 처음 경선에 나선 새누리당 후보자는 “정치신인에게 경선기탁금은 너무 큰 부담이다. 결선투표를 해야 할 경우 여론조사 비용을 또 내야한다”며 “지역구당 조사비용이 4300만원인데, 결선투표를 포함해 대략 계산해보면 1인당 4000만원 정도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더불어 민주당의 경우 각 지역구 여론조사 비용을 3000만원으로 측정, 후보자에게 N분의 1씩 부담하게 했다. 한 지역에 후보자가 2명이면 1500만원씩, 3명이면 1000만원씩인 셈이다. 현재 더민주는 지금까지 5차 공천심사결과를 발표했고, 57곳에서 경선이 진행되는데 17억 1000만원의 여론조사비용이 발생한다.
더민주는 경선 공천방식을 안심번호를 이용한 자동응답전화(ARS)로 실시했는데, 통신3사로부터 안심번호 5만개를 받아 공천인단 모집 후 전화투표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선거사무소 관계자에 따르면 통신사가 안심번호 전환비용을 1개당 1000원씩을 요구 했으나 경선후보자에게 부담이 되는 것을 고려해 개당 600원으로 금액을 낮췄다. 투표율의 경우 지역구마다 차이를 보이는데, 2%~8%정도 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에서 경선을 치르고 있는 후보자는 “여론과 여론조사가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 때문에 힘들다. 여론은 좋아도 지지층이 고학력에 고소득 계층이나 전화를 잘 안 받는 계층이 있으면 불리하다”라며 “ARS를 통한 여론조사는 기기로 이뤄지는 과정이 불편하고 정서상 싫어서 끊어버리는 경우가 대다수”라고 여론조사의 신뢰성과 공정성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