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0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1.50%로 동결했다. 지난해 6월 0.25%포인트 인하 이후 9개월째 동결행진이다.
다음달 한은이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한다는 점에서 지표에 대한 확인심리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1200조원을 넘긴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도 여전히 큰 상황이다.
공동락 코리아에셋투자증권 연구원은 “경제 지표에 대한 확인 과정이 추가로 더 필요한데다 가계부채 확대에 따른 우려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금통위에서도 한 금통위원은 “성장 및 물가 경로의 높아진 불확실성에 대비한 정책여력 확보가 보다 강조돼야 할 시점”이라며 “외국인 증권자금 유출 동향, 가계부채 증가 등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한바 있다.
선진국 중앙은행의 정책결정이 코앞이라는 점에서 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점도 고려됐을 가능성이 크다. 유럽중앙은행(ECB)은 10일밤, 미 연준(Fed)은 16일(현지시간) 각각 추가 양적완화와 금리인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달부터 규모가 5조원 증액되고 범위도 기술형창업에서 창업으로 확대된 금융중개지원대출도 동결결정에 무게를 실은 요인이다. 지난달 문우식 추정 위원은 “금융중개지원대출이 대폭 확대 개선될 수 있다면 금리정책의 대체수단으로 마이너스 금리정책 이상의 강력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었다.
다만 시장과 경제전문가들 사이에서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크다. 수출부진과 내수위축이 가시화되고 있어서다. 2월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12.2% 하락하는 등 수출은 올 들어서도 두자릿수대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1월 산업생산도 전월보다 1.2% 떨어져 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 공동락 연구원은 “4월 수정경제전망 발표와 함께 금리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다만 상반기 중 인하가 힘들게 됐다는 관측도 있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경기방향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실패했다. 인하 시점을 심각하게 놓쳤다”면서도 “4명의 금통위원 임기가 4월로 끝난다는 점에서 사실상 상반기 인하는 물 건너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