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김구환(35)씨는 1000만원 규모의 국내 코스피 상장사 주식을 갖고 있다. 그가 지난해 받은 연말 배당금은 20만원 남짓. 주로 주가 상승을 보고 주식에 투자하는 김 씨는 올해 말과 내년 보유량을 늘려야 할지 고민이다.
김 씨는 “기업 구조조정 이슈가 많은 것을 고려하면 주식 비중을 늘리기는 쉽지 않다”면서도 “배당 성향을 보고 투자를 늘릴 수 있는 여건이 될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고 말했다.
◇“올해 배당성향, 지난해 말보다 높아질 것”= 김 씨의 고민과 달리 국내 상장사의 배당 규모는 앞으로 늘어날 것이란 게 증권업계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피의 배당 수익률은 1.13%로 2013년보다 0.01%포인트 감소했다. 2000년대 이후 2%대의 배당 수익률을 기록한 시기는 2000년(2.44%)과 2008년(2.58%) 단 두 차례밖에 없었다. 대부분 소액을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가 배당 성향만 보고 주식을 사기는 어려운 셈이다.
그러나 올해를 기점으로 상장사의 배당 규모는 증가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올해 말 코스피의 평균 배당 수익률을 1.43%로 예상했다. 이어 2016년은 1.59%로 내다봤다. 대신증권은 2015년 말 코스피의 평균 배당 수익률은 1.49%, 코스닥은 1.11%로 각각 예상, 전년 대비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전균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코스피200 구성종목의 연말 배당규모는 지난해부터 정부가 추진하는 기업소득 환류 정책과 개별 기업들의 주주 친화정책으로 2014년보다 증가할 개연성이 높다”고 말했다.
삼성증권은 올해 말 코스피200 종목의 배당금 총액을 16조원이 될 것으로 관측했다. 이는 전년의 11조3000억원에 비해 40% 이상 증가한 규모다.
◇국내기업 배당성향, 해외보다 낮아= 국내기업의 배당 규모가 해외보다 크게 낮은 점도 앞으로 주주 친화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점쳐지는 배경이다.
2014년 배당수익률 기준, 미국은 1.95%, 일본 1.47%, 중국 2.05%, 유로존 3.70%, 호주 4.45%를 각각 기록했다. 이 중 미국, 유로존, 일본은 한국보다 금리가 낮은 국가지만 상장사 배당수익률이 국내 수준을 웃돌았다. 해외의 상황을 고려하면 국내 기업들도 배당 규모 확대 추세에서 벗어날 수는 없을 것이란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자기자본 500억원 초과 기업의 사내유보금에 과세하는 기업소득 환류 정책 이외에도 △외국인 투자자ㆍ연기금의 배당 확대 요구 △지주회사 전환 확대 등도 배당 규모 증가 전망의 배경으로 꼽힌다. 증권업계에서는 장기적으로 배당 수익률이 금리를 넘어서는 ‘역수익률’의 영역에 들어설 것이란 전망도 하고 있다.
기업별로 봐도 배당 확대 흐름은 명백해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향후 3년간 순현금수지(free cash flow)의 30~50%를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에 활용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올해 첫 중간배당에 나선 데 이어 포스코는 2016년부터 중간배당을 시행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또 향후 배당성향을 25~30%까지 높일 계획을 세웠다. SK하이닉스는 2%의 배당 수익률 달성이 회사의 경영 목표다.
◇직접투자보다 배당주 펀드도 눈여겨 봐야= 소비자가 배당수익률을 얻으려면 고배당 주식을 선별해 투자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개별 주식의 주가 변동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주가 변동성 이외에 기업 구조조정, 업황 전망, 경영진 리스크 등 주요 변수까지 소비자가 직접 고려하려면 적지 않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것도 단점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당수익률이 높은 펀드를 선별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투자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상품별로는 지난 9월 1일 기준 ‘동부진주찾기고배당증권투자신탁’(2.14%), ‘신영프라임배당적립식’(2.09%), ‘삼성배당주장기’(1.96%), ‘BNK튼튼배당’(1.91%) 등이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문수현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배당주 펀드를 선택하는 기준은 단순히 배당 수익률만이 아니라 실제 편입되는 주식의 스타일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문 애널리스트는 “무엇보다 고배당 종목 선별의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며 “검증된 운용조직이 운용을 담당하는 펀드 위주로 선택하는 것과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을 원칙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