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헨리 데이비드 소로 명언
“그 길로 다시 갈 생각이 아니면 뒤돌아보지 마라.”
미국 시인. 그는 28세에 월든 호숫가의 숲으로 들어가 2년 2개월을 지냈다. 그때의 경험을 정리해 펴낸 ‘월든’은 원칙과 실제가 조화를 이룬 대안적 삶의 모델을 빼어난 문장으로 그려냈다는 평을 받으며 미국 산문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 오늘은 그가 태어난 날. 18
사생활 논란이 불거진 후 환속 신청을 한 도연 스님(37)이 3주 만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활동을 재개했다.
28일 도연은 자신의 SNS에 “강렬하게 타오르는 욕망과 증오로부터 도망가야 한다”면서 영상 하나를 공유했다. 58초가량이 쇼츠(짧은 영상)에서 도연은 “우리가 보통 엄청 누군가를 미워한다거나 누군가를 엄청 좋아하는데 이런 것들이 나에게 둘
한 해의 끝자락에 서니 마음속으로 여러 감회가 스쳐간다. 올해 내게는 좋은 일도 있었고, 나쁜 일도 있었다. 관습의 급류에서 비켜서서 호젓한 시간으로 침잠할 수 있는 날들의 고요를 좋아했다. 봄날 숲에서 흰나비를 보았고, 저 하천 어딘가에서 숨어서 울어대는 맹꽁이 울음소리를 들었다. 여름에는 혹서와 우기를 견디며 햇감자를 쪄먹고, 녹색 수박 몇 통을 깨서
어느덧 겨울의 들머리에 섰습니다. 오늘 새벽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중부지방에 서리가 내리고 물은 얼었습니다. 낮은 짧고 밤은 길어집니다.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 잎이 바람에 우수수 떨어지던 어느 날, 늘 명랑하던 당신이 인생이 덧없다 한탄하며 “오늘처럼 인생이 외로웠던 날은 없다”고 말해서 놀랐습니다. 계절이 바뀔 무렵 우리 감정이 멜랑콜리에 빠지는 것은
☆ 헨리 데이비드 소로 명언
“나는 삶이 아닌 것을 살지 않으려 한다.”
미국 시인. 그는 세속적인 명예나 부(富)에 관심을 두지 않은 채 늘 자연과 교감하는 소박하고 단순한 삶을 살았다. 28세 되던 해에 월든 호숫가의 숲으로 들어가 2년 2개월을 지냈다. 그때의 경험을 정리해 펴낸 ‘월든’은 원칙과 실제가 조화를 이룬 대안적 삶의 모델을 그려
카드업계의 침묵이 길다. 지난해 카드업계는 이중고를 겪었다. 카드사 적격비용 재산정 이후 카드사는 수수료율 인하를 통보받았다. 올해 주된 수입원인 수수료 수입 약 8000억 원 감소가 불가피하다. 여기에 올해 초부터 지금도 현재진행형인 연 매출 500억 원 이상 대형 가맹점과 개별 수수료율 협상은 난망하다. 카드사는 금융당국의 ‘역진성 완화’ 지침대로 대형
연일 푸르고 높은 가을 하늘 아래를 걷는 일은 즐겁다. 텃밭 농사꾼은 들깨를 베어 볕에 잘 마르라고 길바닥에 널고, 고구마를 캔 밭은 땅은 새로 갈아엎고 배추를 심었다. 어느덧 숲을 채운 활엽수의 잎잎이 단풍이 들어 곱고, 숲길에는 도토리가 구르는데, 어떤 도토리는 어쩌자고 머리통에 딱 소리를 내며 떨어진다. 여름과 가을 사이 빛의 편차는 뚜렷하다. 저 여
☆ 헨리 데이비드 소로 명언
더 많이 사랑하는 것 말고 사랑의 치료약은 없다.
☆ 윤언여한(綸言如汗)
땀이 다시 몸속으로 들어갈 수 없는 것과 같이 한번 내린 임금의 명령은 취소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한서(漢書) 유향전(劉向傳)의 “출령여출한 한출이불반야(出令如出汗 汗出而不反也)”, “명령은 땀이 나오는 것과 같으니, 나온 땀은 도로
태어나면 입학이고 숨을 거두면 졸업인 것이 삶이다. 문득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생각을 한다. 문득 늘 함께 있었고 그 둘레 안에 살았으면서 내 앞으로 당기고 당겨 새삼스럽게 생각해 보는 창밖 풍경이 오늘 나를 그런 생각을 하게 한다.
나를 가르치는 스승은 학교가 아니라 저 밖의 풍경들이었는지 모른다. 내가 사는 삶이 곧 거대한 학교라는 사실에 내 생
이어령(李御寧)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 이사장은 초대 문화부장관으로 문화행정의 기틀을 세우고, 다채롭고 무수한 글과 강연으로 시대와 문명에 대해, 그리고 한국인에 대해 독보적이고 독창적인 언어로 해석하고 전망해온 분이다. 88서울올림픽, 새천년맞이 사업 등 안 해 본 일이 없는 것 같은데도 우리 시대의 ‘늙지 않는 크리에이터(창조자)’는 여전히 자신을 목마
장석주(張錫周·62) 시인의 트위터 자기 소개란에는 ‘산책자 겸 문장노동자’라고 쓰여 있다. 그는 현재 자신의 삶을 가장 잘 드러내는 두 단어라고 이야기한다. 장 시인의 하루는 매일 걷고, 읽고, 쓰고, 단순하지만 풍요로운 사색으로 채워진다. 산문집 은 그런 그의 일상에 온유한 자극을 준 책이다.
이지혜 기자 jyelee@etoday.co.kr
매
“이렇게 살 수도 있구나.” 단 한 문장으로 이 책의 후기를 말하고 싶다. 이따금 세상 사람들이 사는 방식과 완전히 다른 삶을 산 사람의 이야기도 읽어볼 만하다.
‘대지의 선물’은 1914년 영국 출신으로 ‘자급자족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 존 세이무어가 쓴 책이다. 전원생활 하면 우리는 어김없이 윌든 호숫가 오두막에 살았던 헨리 데이비드 소로를 떠올린
섬뜩하다. 책 제목이. 아니, 희화(戱畵)스럽다.
프랑스 소설가 알베르 까뮈가 한 말을 인용했다.
아니나 다를까. 시작부터가 심상치가 않다.
엘리엇=“(회사에서) 아빠야, 면희가 보고 싶어서 전화했어.”
면희=“그럼 일 쪼금만 하면 되잖아.”
이것이 발단이었다. 그래서 저자는 삶의 우선 순위를 간단하게 정리했다. 나는 고객이 싫다. 나는 바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