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근 경찰청장이 자신의 카카오톡 배경화면에 ‘벼랑 끝에 매달렸을 때 손을 놓을 줄 알아야 대장부’라는 뜻의 게송(偈頌)을 올렸다. 게송은 불교 교리가 담긴 한시의 한 종류로 알려져 있다. 경찰 책임론을 수용해 자리를 물러날 것이란 행보를 암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대통령실은 경질론에 대해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7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중국을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는 15일 오전(현지시간) 중국 전통문화산업을 느낄 수 있는 베이징 유리창(琉璃廠) 거리와 전문대가(前門大街)를 탐방했다.
쥐색 코트 차림의 문 대통령과 모란꽃이 그려진 그려진 빨간 재킷에 빨간 구두를 신은 김 여사는 유리창 거리에서 가장 오래된 골동품 및 롱바오차이를 관람했다. 이곳은 중국 서화
“내 친구 유혜풍(유득공)은 박식하고 시를 잘 지으며 과거의 일도 상세히 알고 있으므로 이미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를 지어 우리나라의 볼 만한 것들을 자세히 밝혀 놓았다. 더 나아가 ‘발해고’를 지어 발해의 인물, 군현, 왕의 계보, 연혁을 자세히 엮어 종합해 놓았으니, 그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고려가 고구려의 영토를 회복하지 못하였음을 한탄한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으로 왜군을 격파해 풍전등화(風前燈火)의 위기에 처했던 국가를 구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적과의 전투에서 주역점과 주역점의 조선판 버전인 척자점(擲字占, 일명 윷점)을 치면서 전략 수립에 점괘를 참조했던 것을 아는 분들은 이외로 적다.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는 주역점을 정서법(正筮法)이 아닌 약서법(略筮法)의 일종인 척자점을 친 점
이덕무(李德懋·1741~1793)는 책 읽는 것 말고는 할 줄 아는 게 없는 바보라고 21세 때 스스로 간서치전(看書痴傳)을 쓴 사람이다. 항상 소매 속에 책과 필묵을 넣고 다녔다. 약관에 박제가(朴齊家) 유득공(柳得恭) 이서구(李書九)와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냈고, 규장각 경시대회(競詩大會)에서 여러 번 장원을 했다.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