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적합업종이 더욱 강력한 제도로 확립될 수 있도록 법제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해지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6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도개선 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경제개혁연구소 위평량 박사가 '서비스업적합업종 성과분석과 제도개선방향'에 대한 주제 발표를 했다. 이어 업계, 학계, 연구계
소상공인연합회는 16일 중소기업중앙회 2층 제2대회의실에서 새 정부 출범 이후 소상공인정책과제 변화와 추진성과를 재조명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심포지엄은 박재환 중앙대 창업경영대학원장의 주재로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 공동회장 등이 참석했다.
최 공동회장은 이날 새 정부 출범 이후 소상공인 정책에 대해 조사한 설문 결과를 발표하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지난 1년 동안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된 품목·업종은 2건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정의당 김제남 의원이 중소기업청(동반성장위원회)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1년에는 총 234개 품목·업종에 대한 중기적합업종 신청이 접수되었고, 이 중 82개 품목이 적합업종으로 지정되었으며 평균 처리기간은 6개월 가량인 것으로
제24차 동반성장위원회가 27일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개최됐다. 유장희 위원장이 이날 회의에서 동반성장위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위원회는 이날 '2013년도 체감도 조사 설문지 개편' 및 '서비스업 적합업종 운영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양지웅 기자 yangdoo@
제24차 동반성장위원회가 27일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개최됐다. 유장희 위원장이 이날 회의에서 동반성장위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위원회는 이날 '2013년도 체감도 조사 설문지 개편' 및 '서비스업 적합업종 운영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양지웅 기자 yangdoo@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가 서비스업 적합업종 ‘제2라운드’에 돌입했다. 지난 5월 ‘생계형 서비스업’의 15개 적합업종 품목을 지정, 발표한 데 이어 이르면 8월 말 ‘생활밀착형 서비스업’ 적합업종 품목을 신청 접수키로 한 것. 기업 간 이해관계가 여느 때보다 첨예하게 대립했던 생계형 서비스업 적합업종 지정 과정을 되짚어볼 때 생활밀착형 적합업종 작
“동반위가 가장 우선시해야 할 일은 모순과 갈등, 기회와 위협을 넘어서는 우리만의 새로운 발전 모델을 정리하는 일이다.”
2010년 12월 동반성장위원회 출범 당시 정운찬 위원장은 “대한민국 경제는 21세기적 기회와 위협요인, 오랜 시간 누적된 편법과 불공정 관행이 중복돼 복잡한 갈등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같은 갈등 구조를 해결하기
음식점, 제과점에 적용됐던 서비스 적합업종의 확대 방안이 제시됐다. 생활밀착형 서비스업, 지식기반서비스업까지 적용 가능하다는 의견이다.
김세종 중소기업연구원 연구본부장은 28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서비스 적합업종 확대방안 공청회’에 주제 발표자로 나서 적합업종 대상 확대방안 분석 결과를 전했다.
김 본부장은 “서비스업 대외개방으로 인해 해외
서비스 적합업종 확대방안을 놓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대기업계는 ‘단계적’ 확대방안을 주장하는 반면, 중소기업계는 ‘전면확대’를 주장하고 나섰다.
동반성장위원회는 28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서비스업 적합업종 확대 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열고, 단계적으로 서비스 적합업종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세종 중소기업 연구본부
동반성장위원회는 오는 28일 서비스업 적합업종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공청회 패널에는 한국중소기업학회장인 임채운 서강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맡고 김세종 중소기업연구원 연구본부장이 '서비스 적합업종 확대방안'을 주제로 발표할 계획이다.
이번 공청회에서는 음식점업, 제과업 등 지난해 확대한 생활밀착형 서비스업에 이어 여타
동반성장위원회는 28일 ‘서비스업 적합업종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공청회에는 서비스업 관련 조합 등 중소기업 단체와 관련 대기업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공청회는 음식점업, 제과업 등 2012년도에 확대한 ‘생활밀착형’ 서비스업에 이어 앞으로 다른 서비스업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소상공인업계는 ‘중소기업 적합업종 발표’에 대해 소상공인 보호 방안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상공인연합회 정상화추진협의회(이하 정추협)은 27일 논평을 통해 “대의적 차원에서 일단 수용한다”면서도 “이번 적합업종 지정은 중소기업의 적정 사업영역 확보 등에 미흡한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는 자동차부
골목 상권 보호를 위한 중소기업적합업종이 외식 산업의 ‘수출길’을 막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국내 시장의 성과를 보고 해외 투자자들이 투자 결정을 하는데 이번 동반성장위원회의 권고안과 관련해 국내 산업 위축은 물론 해외 진출까지 어렵게 됐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외식 대기업 A사는 중저가 브랜드 준비를 했는데 론칭을 보류했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을 두고 중소기업계와 중견기업계간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동반성장위원회는 5일 ‘제21차 동반성장위원회’를 열고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을 골자로한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동반위는 최근 화두로 떠올랐던 외식업, 제과업 적합업종 품목에 있어 중소기업의 손을 들어줬다.
제과점업의 경우 확장·진입자제 권고하에 중소기업업기본법 기준으로 점
중소기업중앙회는 5일 서비스업 적합업종 지정과 관련한 논평을 통해 “이번 서비스업 적합업종이 대기업과 골목상권 소상공인들간 상생하기 위한 최소한의 보호 장치로 작동해 소상공인 스스로 자생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동반성장위원회는 ‘제21차 동반성장위원회’를 개최하고 제조업 2개 품목, 생계형 서비스업 14개 업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