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보안위협을 줄이기 위해서는 의심스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말라는 지적이 나왔다. PC와 마찬가지로 악성코드 감염, 침해사고 발생 등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폰 정보보호 민·관 합동대응반'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위한 10대 안전수칙'을 8일 발표했다.
우선 방통위는 스마트폰용 악성코드가 위·변조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유포될 가능성이 있다며 의심스러운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자제하라고 조언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단말기가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에 방문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의심스럽거나 알려지지 않은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정상 프로그램으로 가장한 악성프로그램이 사용자 몰래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발신인이 불명확하거나 의심스러운 메시지 및 메일은 삭제하라고 제안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멀티미디어메세지(MMS)와 이메일은 첨부파일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악성코드를 유포하기 위한 좋은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며 "해커들은 게임이나 공짜 경품지급, 혹은 유명인의 사생활에 대한 이야기 등 자극적인 내용을 전달해 사용자를 현혹하는 방법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비밀번호 설정 기능을 이용하고 정기적으로 비밀번호 변경하기", "블루투스 기능 등 무선 인터페이스는 사용시에만 켜놓기", "이상증상이 지속될 경우 악성코드 감염여부 확인하기" 등이 제시됐다.
특히 현재까지 국외에서 발생한 스마트폰 악성코드의 상당수가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유포됐다며, 블루투스나 무선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해당 기능을 반드시 꺼놓으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다운로드한 파일은 바이러스 유무를 검사한 후 사용하기", "PC에도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바이러스 검사하기", "스마트폰 플랫폼의 구조를 임의로 변경하지 않기", "운영체제 및 백신프로그램을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기" 등이 포함됐다.
방통위는 향후 '스마트폰 정보보호 민·관 합동대응반'을 통해 스마트폰 관련 주체별(이통사, 제조업체, 백신업체, 정부 등) 역할 및 대응방안 등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