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연말을 한달여 앞두고 부실채권 정리에 2조원을 허공에 날릴 위기에 처했다.
25일 은행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3500~4000억 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ABS 발행으로 정리하고 1000억 원 어치는 상각키로 했다.
하나은행은 3000억원에서 4000억 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상각과 매각을 통해 정리해 부실채권비율을 연말까지 1% 정도로 맞추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9월 말 기준으로 8000억 원 안팎인 정리대상 부실채권을 연말까지 회수와 매각, 상각 등을 통해 처리할 예정이다.
우리은행도 1조 원 미만의 부실채권을 계열 부실채권정리 회사인 F&I와 캠코에 매각하거나 상각해 정리키로 했다.
농협은 8000억 원 안팎으로 추정되는 부실채권을 정상화하거나 회수하는 데 주력하고 있어 연말 목표 부실채권비율을 맞출 수 있을지 우려되고 있다.
농협은 9월 말 1.76%인 부실채권비율을 연말까지 1.12%로 대폭 낮춰야 한다.
이처럼 연말 부실채권 처리로 인해 4분기 중 은행들의 순이익은 2조원 가까이 허공으로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은행권이 연말에 부실채권비율을 1% 수준으로 낮추면 하반기에 추가로 발생할 국내 은행권의 손실 규모는 2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 중 3분기 중 충당금 적립액을 제외하면 4분기에 추가로 발생할 은행권 손실규모는 1조90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여기에 파생상품 거래와 관련한 기타 충당금도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올 들어 9월까지 국민.신한.우리.하나 등의 4대 시중은행의 기타충당금 전입액은 5190억원으로 작년 동기 2040억원의 배를 웃돌고 있으며 작년 전체 규모(4390억 원)도 넘어섰다.
기타 충당금을 포함한 전체 충당금 전입액은 9월 말 현재 무려 4조720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조300억원(75.5%) 급증했다.
은행들이 부실채권 비율을 낮추는 것은 금융당국이 권고한 연말 '부실채권비율 1%'에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중은행 관계자는 "부실채권 처리가 쉽지 않다"며 "금융감독당국이 기업과 개인의 신용등급 조정을 통해 건전성을 강화하라고 주문했기 때문에 연말에 부실채권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