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방산역량 시너지 기대
최대주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육해공 통합 방산 시스템' 완성
MRO 시장 진출 등 기회 확대
대우조선 부채ㆍ결손금 10조넘어
'재무건전성' 인수 후 최우선 과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한다. 이번 인수가 마무리되면 한화그룹은 방산부문 성장과 함께 세계 굴지의 조선사를 품게 된다. 인수 후 최우선 과제는 재무건전성 확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화그룹은 26일 대우조선과 2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대우조선 지분 49.3%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 입찰과 실사, 해지 등에 관한 내용을 담은 조건부 투자합의서(MOU)를 체결했다. 대우조선의 대주주인 KDB산업은행과는 향후 대우조선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협력하겠다는 내용의 기본합의서에 함께 서명했다. 투자사들은 상세 실사 뒤에 공정한 경쟁을 거쳐 최종 인수자로 선정되면 올해 11월 말 본계약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매각은 스토킹호스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만큼 실제 인수까지 절차가 남았지만, 대우조선해양 매각가가 2조 원인 만큼 한화그룹의 인수 여력은 충분하다. 한화는 6월 말 연결 기준 현금성자산 5조2687억 원을 보유했다. 인수 자금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조 원, 한화시스템 5000억 원, 한화임팩트파트너스 4000억 원, 한화에너지 자회사 3개 1000억 원을 출자한다.
한화그룹은 이번 인수로 ‘빅 사이클’ 초입에 진입한 조선산업에 진출하는 것을 넘어 그룹 주력인 방산 분야에서도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전 세계에서 지정학적인 위기로 한국 무기체계에 대한 주요국의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통합 방산 생산능력과 글로벌 수출 네트워크를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은 국내 최대 규모인 3000톤급 잠수함 도산안창호함을 건조하고 잠수함 발사 탄도유도탄(SLBM) 기술도 세계 일곱 번째로 개발했다. 이외에도 차세대 호위함, 잠수함 구조함 등 다양한 방산 선박을 건조하는 등 방산 관련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최대주주가 될 예정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해양 방산의 강자인 대우조선 인수로 기존의 우주, 지상 방산에서 해양까지 아우르는 ‘육해공 통합 방산시스템’을 갖추고 유지보수(MRO)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회장은 이번 ‘빅딜’ 외에도 꾸준히 대규모 인수·합병(M&A)을 진행해왔다. 과거 석유파동 당시 한양화학을 인수해 한화케미칼로 성장시켰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는 적자 기업이던 대한생명을 인수했다. 이후 보험과 증권, 운용, 저축은행 등 금융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2012년 파산 상태였던 독일 태양광 업체 큐셀을 인수해 글로벌 1위 태양광 업체로 키웠다. 2014년에는 삼성그룹으로부터 삼성종합화학, 삼성토탈 등 화학 계열사와 함께 방산 계열사인 삼성테크윈, 삼성탈레스 등을 통째로 인수한 후 우리나라 굴지의 방산업체로 발돋움했다.
이번 인수가 마무리되면 재무구조 개선이 최우선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 총자산 12조 원 중 10조 원이 부채이기 때문이다. 그간 누적된 결손금도 1조6711억 원에 달한다. 최근 3년간 금융비용(이자)으로 1조9264억 원을 지출하는 등 재무건전성이 악화한 영향이다.
한화그룹은 대우조선해양이 이미 저가로 수주한 물량을 상당 부분 해소하고 있고, 자산가치 재평가를 통해 대우조선이 일부 부실을 해소한 데다 향후 3년 반~4년간 일감인 288억 달러(약 41조 원)의 수주 잔량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정상화에 지장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개선과 그룹의 방산 수출 확대와 해상 풍력 진출, 친환경에너지 운송 시장 확대 등 새로운 사업이 추가되면 조기에 ‘턴어라운드’가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판단한다.
한화그룹 측은 “이번 인수는 그룹의 사업적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것뿐 아니라 국가 기간 산업에 대한 투자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도 결코 소홀히 하지 않겠다는 사업보국 정신으로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