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는 원전 수주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 본 결과 성과는 없었다.
대표적인 예가 영국의 무어사이드 원전사업이다. 무어사이드 원전사업 법인인 ‘뉴젠’의 지분 100%를 보유한 도시바는 뉴젠을 팔기 위해 2017년 11월 한국전력을 매각 우선협상자로 선정했다. 뉴젠은 2030년까지 영국 내 원전 3기(3.4GW 규모·총 사업비 21조 원) 건설사업권을 갖고 있다. 그러나 도시바는 한전과의 협상 과정에서 사업 방식에 대한 이견으로 지난해 7월 한전의 우선협상권을 없던 일로 했고, 급기야 11월엔 뉴젠을 청산하기로 했다. 뉴젠이 청산되면 원전 사업권이 영국 정부에 넘어가 무어사이드 원전 수주가 새 국면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뉴젠 인수를 통해 무어사이드 원전을 수주하려던 한전의 계획은 무산됐다.
같은 해 11월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체코를 찾아 원전 수주 세일즈를 전개했지만 실질적 성과를 얻지 못했다. 우리 정부가 눈독을 들인 사우디 원전 수주 역시 진전이 없는 상태다.
이런 와중에 한전이 짓고 있는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의 운영권 일부가 우리 기업이 아닌 프랑스 원전업체에 넘어간 것이 한국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이란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기도 했다.
정부는 올해를 한국 원전 수주의 원년으로 삼아 우리나라에 이익이 되는 원전 건설 사업은 반드시 수주해야 한다. 발전단가가 저렴한 원전·석탄발전을 줄이는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인해 손실이 우려되는 한전의 수익성을 원전 수주로 보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지 않으면 전기요금 인상으로 불똥이 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에너지 전환 정책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서라도 원전 수주가 이뤄져야 한다. 그래야 원전 수주 부진이 탈원전에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