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온했던 지난주 토요일 오전 서대문구에 위치한 KT 아현지사에 화재가 발생했다. 긴급 재난문자에 이어 한줄 속보로 전해진 화재 소식. 불길이 금새 잡히길 바랐지만, 결과는 참혹했다.
79미터 통신구 화재로 서울 서대문구, 용산구, 마포구, 중구, 은평구, 경기 고양시 일부지역이 통신 '블랙아웃' 상태가 됐다. 화재 현장만큼 이 지역을 방문했거나 이 지역 소상공인들은 아비규환이었다.
화재로 통신망이 소실되면서 인터넷망이 마비됐다. 인터넷망의 부재는 일상생활을 완전히 멈춰버렸다. 음식점이나 커피숍 편의점 등 인근 매장에서는 카드결제 단말기와 포스(POS, 판매점 관리 시스템)가 ‘먹통’이 되면서 매출 손실이 발생했다. 소비자들도 카드를 쓸 수 없으니 현금을 뽑거나 발걸음을 돌려야했다. 전화나 문자도 안되는 바람에 약속장소에 가던 시민들도 발만 동동 굴러야 했다. 일부 병원 업무와 용산·서대문·마포 경찰서의 112 신고 시스템도 마비됐다.
현재까지도 불편은 이어지고 있다. KT에 따르면 27일 11시 기준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사고 복구 현황은 무선 96%, 인터넷ㆍIPTV 99%, 유선전화 92%다. 광케이블 유선전화는 99% 복구, 동케이블 유선전화는 10% 복구에 그쳤다.
이번 화재로 인한 피해가 컸던 이유는 통신국사 중 하나인 아현지사의 특성과 느슨한 소방법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통신사들은 효율적인 망 운영을 위해 전국에 지역단위의 통신국사를 운영한다. KT 아현지사는 통신국사 중 하나로. 서대문 중구 마포구 지역의 통신방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아현지사에는 전화선 16만8000회선, 광케이블 220조(전선 뭉치 단위)가 설치됐다. 통신사들은 전국에 설치된 통신지사를 중요도에 따라 A, B, C. D 등급으로 나눈다. A~C 등급의 지사는 이중화 백업체계가 의무화 된 곳인 반면 D등급은 의무화 제외대상이다. 아현지사는 D등급이었다. 때문에 유일한 통신망이 화재로 전소하자, 백업망이 없어 확산되는 피해에 속수무책이었다.
KT는 전국 56개 통신국사를 운영 중이다. 이 중 아현지사 같은 D등급 통신국사는 27곳이다. 국내 통신사들을 모두 합치면 D등급 통신국사는 800여 곳으로 늘어난다. 추후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란 법은 없다. 등급체계를 다시 세워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소상공인들의 피해가 컸던 점도 이유가 있다. 소상공인들이 사용중인 카드결제는 동케이블 기반으로 한다. 동케이블의 복구는 10% 내외로 모든 통신 설비중 복구 속도가 가장 느리다. 동케이블은 굵고 무거워 맨홀로 빼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화재현장인 통신구 진입이 가능해져야 복구가 진행될 수 있어 복구에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느슷한 소방법도 한 몫했다. 현행 소방법은 지하구 길이가 500m 이상인 수도·전기·가스 등이 집중된 ‘공동지하구’에 스프링클러·화재경보기·소화기 등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아현지사 통신구는 통신 케이블만 설치된 ‘단일지하구’였다. 길이도 150m로 화재 방지시설 설치 의무 대상이 아니었다. KT가 특별히 소방법을 어긴 점이 없다는 이유도 이때문이다.
일각에선 예견된 인재라는 지적도 있다. KT가 민영화 이후 수익성과 효율성 강화에 초첨을 맞추면서 지속적으로 인력을 감축해 왔는데 이게 시설 관리 소흘과 연결됐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정규직이 부족하다 보니 안전과 관련된 업무를 비정규직에게 맡겼고, 사고 대응에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사고 당시 KT아현지사 출근자는 2명 뿐이었다. 2002년 민영화 이후 국사·지사·지점을 통폐합하면서 아현지사는 '폐쇄형 전화국'으로 강등되면서 지점장 등 팀장급 이상 관리자가 없는 전화국급으로 축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