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 가장 밀접한 스마트 기기인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사실 화재 발생이 높은 위험한 물건이다. 강아지가 입으로 물거나 실수로 송곳으로 찌를 경우 폭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많은 업체들은 다양한 환경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배터리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한다. LG전자는 G6 뿐 아니라 배터리의 용량이 대형화 되는 추세에 따라 배터리 안정성을 검증하는 배터리 평가랩을 운영하고 있다.
24일 방문한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LG디지털파크의 배터리 평가랩은 △설계 상의 안정성을 검증하는 ‘배터리 설계 안정성 평가실 △강제 연소를 통한 화재 상정 시험을 실시하는 ‘배터리 화재 평가실’△엑스레이 등을 통한 사후 분석을 수행하는 ‘배터리 고장 분석 실험실’등 모든 검증을 한 곳에서 실시할 수 있는 통합 연구소다.
김성우 수석연구원은 “국제 기준에는 없지만 필수적인 자체 검사들을 추가했고 배터리 안정성 검사만 20여개에 달한다”며 “G6 배터리 열 노출의 시험의 경우 국제 기준보다 15% 이상 높은 고온에서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LG전자는 스마트폰과 배터리가 분리되는 제품을 출시했지만 G6부터 일체형을 선택했다. 김 연구원은 “일체형으로 바뀌며 완제품 상태에서 충·방전 테스트와 최대 45도까지 올려 사용자조건을 맞춰 테스트를 추가해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갤럭시노트7’ 배터리 발화 이슈가 발생하며 LG전자도 자체적으로 테스트 기준을 높였다. 김 연구원은 “특별하게 추가한 테스트는 없지만 기존에는 100개 정도의 샘플만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수백개로 샘플수를 올려 더 혹독한 샘플링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터리 평가랩에서 나와 G6와 같은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G2동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3층에 있는 제품안정실은 스마트폰의 품질을 책임지는 곳으로, 매일 같이 다양한 스마트폰을 테스트하는 과정이 이뤄진다. 실사용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발견하고 개선해 품질을 높이는 데 가장 큰 공헌을 하는 곳이다.
낙하 시험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작은 충격에 대비한 ‘잔 충격 시험’의 경우 스마트폰에 1만 회 이상 가벼운 충격을 가해 성능을 검증한다. 성인 평균 몸무게의 1.5배 정도의 무게를 가하는 ‘인체 하중 시험’도 진행한다. 이 외에도 총 1000여 가지 항목의 품질 테스트가 진행되며, 이에 따른 품질 기준만 6만 개에 달한다. 제품별로 약 5000시간 동안 가혹한 조건에서 테스트해 합격해야만, 최종 제품으로 만들어져 소비자의 손에 전달된다.
가장 눈에 띄는 시험은 낙하 시험이었다. 낙하 시험은 휴대폰을 자유 낙하 시켜 특정부위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품의 구조적 결함을 검증한다. LG전자 연구원이 버튼을 누르자 G6가 바닥의 철판위로 사정없이 떨어진다. 쾅하는 소리가 무색하게 제품은 멀쩡하다. G6는 측면에 메탈 테두리를 적용해 제품을 떨어뜨렸을 때 외부 충격에 더 잘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이러한 철저한 품질관리로 G6는 ‘V20’에 이어 미국 국방부에서 인정하는 군사 표준 규격을 획득했다. 단순 충격 뿐 아니라 극저온부터 고온까지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열충격 시험, 소금물을 총 96시간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말렸다 적셨다를 반복해 염수분무 등 복합적인 조건에서도 강한 내구성을 보이며 ‘통과’ 판정을 받았다.
LG전자 이석종 MC글로벌오퍼레이션 그룹장은 “안전함과 튼튼함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G6는 더욱 엄격한 기준에 따라 품질을 검증하고 있다”며 “고객에게 신뢰받기 위해 설계부터 생산까지 철저한 품질 우선주의를 실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