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미래전략실 해체와 인사 및 조직 개편, 쇄신안 등을 구상하고 있다. 일단 미래전략실 해체가 우선순위다. 전날 삼성은 “약속한 대로 미래전략실은 해체한다”면서 “특검 수사가 끝나는 대로 조치가 있을 것이다. 이미 해체 작업을 준비 중”이라고 공식 입장을 내놨다.
삼성 미전실은 1959년 이병철 창업주 시절 회장 비서실에서 출발해 1998년 IMF 외환위기 당시 그룹 구조조정본부(구조본), 2006년 전략기획실, 2010년 현재의 미래전략실로 명칭을 바꿔 가며 60년 가까이 명맥을 유지해왔다. 현재 각 계열사에서 파견된 약 200명의 임원과 고참급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삼성은 미전실 해체와 함께 사장단 및 임원인사를 단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전실을 해체하면 결국 미전실 소속 사장들이 계열사로 흩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룹 쇄신안의 경우, 반(反)기업 정서 해소에 초점을 맞춘 경영 시스템 개선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전문경영인 중심의 위원회나 협의체를 만들어 의사결정을 분산하는 방안이 나올 수 있다. 계열사 중심의 의사결정과 이사들의 책임성을 살리는 안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삼성은 쇄신안의 일환으로 ‘사회 환원’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삼성은 2006년 ‘삼성 엑스파일’ 사건 이후 이건희 회장이 출연한 약 8000억 원을 기반으로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을 설립한 적이 있다. 현재 이 재단은 ‘삼성꿈장학재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각종 장학사업과 교육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다만, 최근 ‘최순실 게이트’ 등으로 재단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이 큰 상황도 감안해야 한다. 이에 삼성 내부에서는 사회 환원 방식에 대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쇄신안을 특검 조사 이후에 발표할지, 재판 과정을 모두 마무리한 뒤 발표할지 시점도 고민거리다.
삼성 관계자는 “국민 정서를 아우르는 쇄신안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