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떡의 어원은 중국에서 시작됐다.
빈대떡과 관련된 단어로 가장 오래된 것은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빙져’이다. 이는 ‘餠’라는 중국어이다. 이 ‘빙져’라는 단어가 그 실물과 함께 중국어에서 국어로 직접 들어온 것이다. 중국의 ‘빙져’는 녹두를 맷돌에 갈아 그 분말을 지져서 먹는 떡이니 지금의 ‘빈대떡’과 일치한다.
‘빙져’라는 단어는 17세기에 ‘빙쟈’로도 나온다. ‘빙쟈’는 ‘빙져’의 제2음절 모음이 음성모음에서 양성모음으로 바뀐 어형이다. 이 ‘빙쟈’는 좀더 내려와 19세기 말 문헌에는 ‘빈쟈’으로 변형되어 나온다. 제1음절의 ‘빙’이 ‘빈’으로 바뀌어 있을뿐더러 우리말 ‘(〉떡)’이 첨가되어 3음절 단어가 됐다.
이 ‘빈쟈’이 20세기 초 문헌에는 ‘빈자떡, 빈자’ 등으로 표기되어 나온다. ‘빈자떡’의 ‘빈자’는 물론 ‘빈쟈’로부터 변한 것이다. ‘빙쟈’가 ‘빈쟈’를 거쳐 ‘빈자’로 변하자, 그 어원을 잃고 한자 ‘빈자(貧者)’로 간주하여 ‘빈자떡’을 급기야 ‘가난한 사람들이 먹는 떡’으로 해석하기에 이른다. 물론 이는 전형적인 한자부회(漢字附會)이다.
이렇게 보면 17세기의 ‘빙져’는 ‘빙쟈’를 거쳐 ‘빈쟈’으로 변했다가 다시 ‘빈자떡’으로 변한 것이 된다. 그런데 ‘빙져’의 변화는 ‘빈자떡’에 머문 것이 아니고 ‘빈대떡’에까지 이르고 있어 눈길을 끈다. ‘빈대떡’이라는 단어는 ‘빈자떡’과 비교하여 제2음절에서만 차이를 보이는데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단어로 추정된다. 이 말은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의 사전에도 잘 나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