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지국(十日之菊)이니 뭐니 하지만 도연명이 ‘음주(飮酒)’에서 “동쪽 울타리 아래에서 국화꽃 따다가/유연히 남쪽을 바라본다”[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고 읊은 이후 국화는 군자의 은일(隱逸)과 지조를 상징하는 꽃이 됐다.
이 꽃(국화)이 피고 나면 더 피는 꽃이 없다[此花開盡更無花]. 서리와 추위에 굴하지 않는 국화는 오상고절(傲霜孤節), 상풍고절(霜
만당(晩唐)의 시인 정곡(鄭谷·851?~910?)은 ‘십일국(十日菊)’에서 국화를 이렇게 노래했다. “철이 지나매 벌은 시름하고 나비는 모르는데/새벽 뜰을 돌아다니며 남은 가지를 꺾네/오늘이 어제와 다르다는 분별 때문이지만/가을 향기가 하룻밤 새에 꼭 줄어들진 않는다오”[節去蜂愁蝶不知 曉庭還繞折殘枝 自緣今日人心別 未必秋香一夜衰]
국화는 음력 9월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