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고용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29위를 기록하면서 5년 만에 6단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률을 비롯한 한국 주요 노동지표가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고 있어 노동 개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18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2000~2021년 전 기간 고용률, 경제활동참가율, 노동생산성 등 OECD 국가 간 핵심
우리나라 핵심노동인구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2047년에는 전체 인구에서 핵심노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OECD 국가 중 최하위로 떨어질 전망이다.
핵심노동인구란 노동 공급이 가장 활발하고 생산성이 가장 높은 연령대의 인구를 가리킨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와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0년 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사업부진이나 조업 중단으로 일시 휴직자가 폭증하는 가운데 일시 휴직자가 늘면 취업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시 휴직자가 1명 늘 때마다 그 다음달 취업자는 0.35명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20년 일시휴직자의 추이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9일 이같
한국의 여성 고용률이 OECD 국가들 중에서 하위권으로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여성 고용률을 올리면 경제 성장률이 높아진다며 이 상황을 개선시켜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경제연구원은 1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독일 콘라드 아데나워재단, 한국여성경제인협회와 함께 ‘여성과 성장잠재력’이라는 이름 하에 여성인력 활용에 대한 국제회의를 개최했
지난해 임금근로자의 16%만이 시간제 근무, 자율 출퇴근제 등 근무 시간을 조정해 일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유연근무제 활용 현황’에 따르면 2013년 10월 전체 임금근로자 1848만9000명 중 유연근무제를 통해 일하고 있는 근로자는 297만명(16.1%)이었다. 성별로 보면 여자(
박근혜 정부의 핵심 경제목표의 하나는 고용률을 70%로 높이는 것이다. 고용률은 취업자 수를 노동가능 인구로 나눈 것으로 현재 65% 내외로 미국, 독일 등의 70%에 비해 낮다. 반면 실업자 수를 경제활동 인구수로 나눈 실업률은 3.2% 수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가 중 가장 낮고, 통계 숫자로는 자발적 실업이 거의 없는 완전고용 상태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인 ‘고용률 70%’로드맵 달성을 위해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는 중소기업에 세금 감면 혜택을 늘리기로 했다.
기획재정부가 8일 발표한 내년도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비정규직과 파견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할 경우 내년말까지 1인당 100만원의 세택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세액 공제 제도는 2008~2009년에도 시행
정부가 박근혜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인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앞으로 4년간 295개 공공기관에서 7만명을 채용하기로 했다. 또 스펙중심의 채용 시스템을 개선하고 여성과 비정규직, 고졸, 지역 출신 등 사회적 약자의 고용도 확대하기로 했다.
8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공공기관 합리화 정책방향’에 따르면 정부는 기능 점검을 통한 인력 재배치, 제도 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이름 그대로 환경과 노동 및 일자리 문제를 주로 다루는 상임위다.
환노위는 19대 국회 전반기 주요 정책과제로 △노동시장 △인력수급 △직업능력 △고용평등 △고용서비스 △근로개선 △산재예방보상 △노사협력 및 공공노사 △국제협력 등 9개를 선정하고 35개 세부과제를 다루게 된다.
그중에서도 최근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은 29일 과천정부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시간제 근로자 제도에 쏟아지는 비판의 해명에 나섰다. 정부는 다음달 4일 발표되는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일자리 로드맵의 주된 정책으로 시간제 근로제를 내세우고 있지만 노동계와 야당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날 방 장관은 “시간제 근로제와 관련해 일부 언론의 반응이 부정적이고 야권에서도
정부가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인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시간제 근로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정부와 여당은 시간제 일자리 촉진 입법을 추진키로 했다. 하지만 정부가 고용률 집착이 일자리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27일 열린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고용률 70%를 달성하고 일자리를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시간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정부의 일자리 로드맵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기대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은 사회구조가 변화에 따라 일자리 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꾼다는 정부의 방향성에 공감하면서도 사회 전체적으로 공감대가 이뤄지고 경제 정책도 같이 가야한다고 지적했다.
최영기 경기개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정부의 고용률 70% 달성 목표와 관련해 “기
“이번 추가경정예산의 목적이 세입보전이 일자리 창출과 주택관련 지원 등을 위한 세출증액 추경이 될 것이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세종시 인근 음식점에서 가진 출입기자단 만찬에서 이번 추경안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현 부총리는 추경과 관련해 “추경은 세출 쪽 보고 있는데 사업 쪽 문제니까 부처와 협의도 필요하다”며 “큰 꼭지의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지 않는 근로자들의 절반 가까이가 유연근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 임금근로자 중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임금근로자는 10명 중 1명에 불과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유연근무제를 2배 더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통계청은 30일 ‘2012년 유연근무제 활용 현황 집계결과’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17만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