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석이 조성하를 살해하고 임금이 되며 흑화했고 3년 후 신세경이 복수를 시작했다.
28일 방송된 tvN 토일드라마 ‘세작, 매혹된 자들’ 4회에서는 이선(최대훈 분)의 갑작스러운 승하와 함께 살기 위해 매섭게 흑화한 진한대군 이인(조정석 분)을 비롯해 역적모의를 꿈꿨던 김봉배(조성하 분)의 죽음 그리고 진한대군에게 비참하게 버려진 강희수(신세경 분)의
☆ 킹 캠프 질레트 명언
“나에게 금속에 관한 아주 작은 지식만 있었더라도 난 감히 일회용 면도기를 발명할 꿈도 꾸지 못했을 것이다.”
40세에 면도하다 살을 벤 뒤 날을 갈아 끼우는 안전면도기를 발명한 미국 사업가. 일회용 면도날로 된 안전면도기 출시 첫해에는 판매량이 51개에 그쳤지만, 이중 날, 3중 날이 달린 ‘질레트 마하3’을 선보여 큰 성공
☆ 비고 모텐슨 명언
“내 인생의 터닝포인트는 단지 남들보다 조금 늦게 찾아오는 것뿐이다.” 덴마크-미국의 이중국적 배우. 데미 무어가 주연한 ‘G.I.제인’에서 혹독한 교관 존 어게일 역으로 처음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해 ‘반지의 제왕’의 아라고른 역으로 할리우드의 대스타로 떠올랐다. 오늘은 그가 태어난 날. 1958~.
☆ 고사성어 / 선사후득(
☆ 루이스 L. 헤이 명언
“우리는 저마다 자신의 모든 경험에 책임이 있다. 우리가 하는 모든 생각이 우리의 미래를 만들어낸다.”
미국의 심리 치료 전문가. 그는 하루 5분 거울 보고 말하는 것만으로 자신을 사랑하게 돼 삶이 바뀐다는 ‘거울이 가진 힘(mirror work)’을 주장했다. 30년 이상 실천한 것을 옮긴 ‘치유-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
☆ 에드워드 영 명언
“빨리 현명해지라. 사십이 되어도 어리석은 사람은 정말 어리석은 자이다.”
영국 시인. 그를 유명하게 만든 ‘밤의 상념’은 9권, 1만 행의 무운시(無韻詩)다. 묘지를 배경으로 인생의 유전(流轉)·죽음·영혼의 불멸 등에 관한 명상을 노래하는 묘반파(墓畔派) 유행의 계기가 되었다. 오늘은 그가 출생한 날. 1683~1765.
☆ 고
☆ 페테르 파울 루벤스 명언
“모든 어린이에겐 창조의 정신이 있다. 삶의 쓰레기는 종종 전염병과 영혼 자신의 비참함을 통해 영을 멸절(滅絶)시킨다.”
독일 출생 화가다. 역사화·종교화를 비롯해 많은 종류의 제재를 작품화했다. 파리의 뤽상부르궁전의 21면으로 이루어진 연작 대벽화 ‘마리 드 메디시스의 생애’는 그의 모든 특질이 담긴 기념비적 작품으로 바
☆ 조지 번즈 명언
“당신은 나이만큼 늙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생각만큼 늙는 것이다.”
미국 코미디언. 그의 아내 그레이시 앨런과 함께 출연한 라디오 쇼 ‘번즈 앤 앨런 쇼’의 큰 성공으로 TV쇼까지 영역을 넓혀 활동했던 배우이다. 영화 ‘선샤인 보이’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받았다. 오늘은 그의 생일. 1896~1996.
☆ 고사성어 / 불혹(不惑)
하는 일이 직업, 일자리, 교육·훈련 분야에 관한 연구이다 보니 드라마나 영화를 볼 때 일 노동, 직업 관련 분야를 주로 찾아본다. 일명 오피스 장르로 불리는 것 중 최근 몇 년간 필자가 꼽은 최고의 작품은 영화로는 ‘성실한 나라의 엘리스’, 드라마는 한국방송의 ‘회사가기 싫어’이다. 최근 나만의 순위를 변경시킨 작품을 접하게 되었는데 바로 웹드라마 ‘이과
이준석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에게 묻고 싶다. 무능이 악인가. 실력주의를 앞세우는 이 대표에겐 정해진 답변이겠다.
선과 악의 구분이란 중세적 특질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K능력주의’는 선과 악의 흑백논리로만 대중을 미혹하려 든다. 우선, 한국에서 드러나는 능력주의의 실상은 미국의 능력주의와 다르다. 학벌, 부모의 재산과 인맥 등을 간과한다. 개인의 능력이
☆ 메리 울스턴 크래프트 명언
“여성을 자유롭게 하라!”
18세기 영국의 작가·여권 신장론자. 그녀는 여성 자신의 자각을 호소하는 ‘여성의 권리 옹호’를 저술해 기존사회 관념에 도전하며, 여성의 교육적·사회적 평등을 주장했다. 그녀는 딸을 낳다가 산모의 3대 사망원인 중 하나인 산욕열(産褥熱)로 숨졌다. 오늘은 그녀가 태어난 날. 1759~1797.
인간의 삶은 사람과 사물들, 그리고 여러 사태와의 만남으로 이루어진다. 대상이나 사태에 부닥치면 실상을 파악하고 원인을 캐내려고 애쓴다.
대상을 파악하는 데는 흔히 이분법(二分法)이 동원된다. 대상을 상반되는 두 개의 구분지(區分肢)로 나누는 방법이다. 사람의 성별을 남자와 여자로 나누는 것이 좋은 예다. 간단명료하면서도 쓸모 있는 방식이다. 세상에
얼마 전 정부 예산을 지원받는 대학 세미나에서 있었던 일이다. 발제가 끝나고 토론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쭈볏거리며 조용하다가 이내 몇몇 질문이 이어지고 당초 예정된 시간에 닿았다. 장소가 외부라면 대여 시간을 핑계 삼아 서둘러 끝낼 터이나 이날 세미나 장소는 대학 내였기 때문에 예정된 시간을 넘겨도 좋을 것 같았다. 그런데 진행자가 뜨거운 토론을 막아서며
“힘을 빼라.” 운동할 때 공통적으로 듣는 말이다. 태도를 가리킬 때도 그렇다. “그 사람, 목에 힘 좀 빼야겠어”는 부정적 인물평의 관용어구다. 힘을 빼는 유연함은 힘이 없는 무력함과 다르다. 하수 리더일수록 목에 힘을 주고, 눈을 부라린다. 힘을 뺄 줄 아는 유연함이야말로 운동이나 인격이나 고수 리더십의 공통 덕목이다. 이는 소통에도 적용된다.
“역사에 가혹한 운명의 주인공이 된 자들의 공통 요인은 화이다.” 갑질 논란으로 패가망신을 하는 리더들을 보며 로마 철학자 세네카의 말을 되새김질하게 된다. 분노 관리는 갑질 예방뿐 아니라 모든 관계의 기본이다. ‘좋아하는 것을 해주는’ 공감과 배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싫어하는 것을 하지 않는’ 분노 관리이다.
지적과 갑질의 결정적 차이는 분노 포
국정감사가 진행되고 있다. ‘적폐청산’이라는 여당의 입장과 ‘정치보복’이라는 야당의 입장이 맞서다 보니 국감장이 조용할 리가 없다. 고함과 삿대질이 오가면서 항간에선 더러 ‘국회의원 갑질’이라는 평이 나오기도 했다. 이런 갑질 앞에서는 곤욕을 치르는 사람이 있을 수밖에 없다. 따져 묻는 사람은 할 말을 다 해놓고서는 답변을 하는 사람더러는 거두절미하고 ‘예
숙창원비(淑昌院妃) 김씨는 위위윤(尉衛尹)으로 벼슬을 그만둔 언양인(彦陽人) 김양감(金良鑑)의 딸로 태어났다. 평범한 관인가문 출신이었으나 그녀는 상당한 미모의 소유자였다. 하지만 미인박명(美人薄命)이라 그랬는지, 진사(進士) 최문(崔文)과 일찍이 혼인했으나 곧 과부가 되었다.
그 뒤 그녀의 의사와 상관없이 정치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들어갔다.
요즘은 어찌 이렇게도 용렬하고 비루한 사람들만 눈에 띄는가? 보좌관의 월급 일부를 상납 받은 국회의원들, 아들이나 딸의 취업을 위해 갑질을 서슴지 않는 국회의원들, 땅콩회항, 운전기사를 폭행하고 욕설을 퍼부은 기업경영주 등등.
그런 사람들을 보면 승영구구(蠅營狗苟)라는 말이 생각난다. 파리처럼 날아다니고 개처럼 구차하다는 뜻으로, 수단을 가리지 않고 명리
살다 보면 길을 몰라 헤매는 경우가 생긴다. 앞은 강인데, 이 강을 건너는 나루는 대체 어디일까? 공자가 제자 자로(子路)에게 “나루가 어딘지 물어오라”고 한 데서 문진(問津)이라는 말이 생겼다. 논어 미자(微子)편에 나온다. 문진은 이상적인 길을 찾는다는 뜻이다. 학제간 연구모임인 문진포럼도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든 단체다.
그런데 나루가 어디인
서경에 호문즉유(好問則裕)라는 말이 있다. 묻기를 좋아하면 편안하고 넉넉해진다는 뜻이다. 왜 편안한가? 궁금증이 해소돼 마음에 미혹(迷惑)이 없기 때문이다. 모르는 게 있으면 물어야 한다.
특히, 궁금한 것을 묻되 자기보다 신분이 낮거나 나이가 어린 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아야 한다. 이게 불치하문(不恥下問)이다. 출전은 논어 공야장(公冶長)편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문신 이규보(李奎報·1168~1241)는 아호가 삼혹호(三酷好) 선생이다. 시와 거문고, 술 이 세 가지를 몹시 좋아한다는 뜻이다. 시와 산문에 두루 능했지만 특히 산문이 여유가 있고 익살스러워 즐겨 읽을 만하다.
그는 시를 지을 때 피해야 할 아홉 가지 체, 이른바 구불의체(九不宜體)가 있다고 했다.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중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