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정전으로 석유화학업체 10여곳의 공장 가동이 중단되면서 수백억원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석유화학업체는 특성상 한번 전기 공급이 중단되면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배관을 따라 액체 타입의 제품이 흐르기 때문에 흐름이 중단되면 제품이 응고해 공장을 재가동하기까지 시간이 상당부분 걸리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지난 7월에도 서울 노원구와 동대문구 일대도 변전소 이상으로 정전 소동을 벌였다. 성동변전소의 내부 기기 이상으로 순간적으로 전압이 약해지면서 승강기 수십대가 동시에 멈추는 사고가 발생한 것. 그 외 지난달 22일에도 서울 삼성동 일대가 정전에 불편을 빚었다.
변전소 이상으로 인한 정전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전력 수급 예상을 잘못해 발생한 지난 9·15 정전사태를 제외하고 변전소 이상으로 인한 정전사고만 올 초부터 3차례 이상 발생했다.
특히 울산 석유화학공단은 정전사태 때도 한전이 순환정전 대상에서 제외시킬 정도로 주요 국가시설로 보호하고 있는 곳이다.
9·15 정전사태를 겪으면서 올 겨울철 전력수급난 타개를 위해 5일부터 동절기 전력수급대책에 본격 돌입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울산화학공단 정전은 정부와 한전에 상당한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한전의 경우 경우 전기요금 현실화를 위해 산업용 전기요금을 6.5% 인상한 지 이틀 만에 산업단지가 정전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논란이 더욱더 클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정전 사고처럼 울산이나 온산국가공단 등 석유화학공장이 밀집해 있는 곳들이 매년 정전피해가 되풀이 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사고가 왜 나는지,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제대로 논의 되지 않고 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정부와 한전은 전기값만 올릴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