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적자 40년 후 최대 28조

입력 2010-12-24 08: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DP 0.49% 수준.."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연계 검토 필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적자가 40년 후에는 19조~28조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0.33~0.49% 수준이다.

이은경 조세연구원 연구위원은 24일 월간지 ‘재정포럼 12월호’에 게재한 ‘노인장기요양보험 장기 재정추계’ 보고서에서 장기요양보험의 당기수지는 2010년 GDP 대비 -0.02~0.04%로 예상했다.

그러나 곧 적자로 돌아서 2050년에는 당기수지 적자가 0.33~0.49%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2008년 7월에 도입된 새로운 사회보험으로 치매와 중풍 등 노인성 질환 등에 따라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요양서비스나 요양비를 지원하는 제도다.

이 연구위원은 장기요양보험 총지출을 관리운영비가 총 급여비의 20%인 경우와 10%인 경우 등 2가지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총 급여비의 20%일 때는 2010년 3조3000억원에서 2050년 46조5000억원으로 13.8배 급증하고, 총 급여비의 10%일 경우 총지출은 2010년 2조7000억원에서 2050년 37조6000억원으로 역시 13.8배 증가할 것으로 계산됐다.

반면 장기요양보험의 수입은 2010년 3조1000억원에서 2050년 18조4000억원으로 6배만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 연구위원은 “장기요양보험 재정수지는 2010년 3900억원 흑자 또는 2500억원 적자로 GDP 대비 당기수지는 0.04~-0.02%에 그치겠지만 2050년에는 적자가 19조2000억~28조1000억원으로 GDP 대비 0.33~0.49%까지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정책에 따라 수혜자 범위가 확대되고 수가가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며 “평균수명 연장 등 비정책요인도 고려한다면 사실상 총지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에 따라 “미리 재정여건을 파악하고 재원의 다양화와 수요 및 공급 변화에 대한 선제 대응책 마련하고, 지출 효율화 등 장기적 대비를 해야 한다”며 “미국이나 네덜란드처럼 노인의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이 연계된다면 더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범죄 아이돌’ 명단에 추가된 NCT 태일…대체 왜 이럴까 [해시태그]
  • 서울 연희동 성산로 싱크홀 발생 현장…승용차 빠져 2명 중상
  • 취업면접 본 청년에 최대 50만원 지원…'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2차'[십분청년백서]
  • 단독 근로자햇살론 최대 1년 상환 유예한다
  • 성범죄 형사사건 피소 '충격'…NCT 탈퇴한 태일은 누구?
  • 단독 ‘탁구요정’ 신유빈, 삼립호빵 모델 낙점…신제품에 ‘삐약이’ 반영
  • 단독 "오피스텔 가로채" vs "우리도 피해자"…대우건설 자회사 대우에스티, 시행사와 소송전
  • '2024 추석 승차권 예매' 오늘(29일) SRT 호남선·전라선 예매…방법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8.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0,816,000
    • +0.99%
    • 이더리움
    • 3,457,000
    • +4.16%
    • 비트코인 캐시
    • 442,400
    • +0.87%
    • 리플
    • 779
    • +0.91%
    • 솔라나
    • 196,700
    • +0.82%
    • 에이다
    • 487
    • +3.84%
    • 이오스
    • 668
    • +1.67%
    • 트론
    • 216
    • +0.47%
    • 스텔라루멘
    • 12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200
    • +2.02%
    • 체인링크
    • 15,230
    • +1.8%
    • 샌드박스
    • 347
    • +0.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