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보다 7.9% 늘었다. 최근 흐름이 연말까지 이어지면 8년 연속 감소한 연간 출생아 수도 증가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
통계청은 25일 발표한 ‘7월 인구동향’에서 7월 출생아 수가 2만601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7.9% 증가했다고 밝혔다. 4~5월 2개월 연속 증가했던 출생아 수는 6월 감소로 전환됐으나, 1개월 만에 다시 반등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북·제주·강원을 제외한 14개 시도에서 출생아가 늘었다. 서울·대구·인천·충남·전남 등 5개 시도는 누계 출생아 수가 이미 증가로 전환됐다.
혼인 건수도 1만8811건으로 32.9% 급증했다. 1~7월 누계 혼인 건수는 12만8876건으로 11.2% 늘었다.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 증가의 주요 배경은 30~34세 여성 증가다. 2차 베이비붐 세대(1968~1974년생)의 자녀 세대인 에코붐 세대(1991~1996년생)가 대부분 30대에 진입하면서 최근 30~34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기저효과도 증가요인 중 하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2020~2022년 연기·취소됐던 혼인이 재개되면서 지난해 초부터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다만 혼인 건수는 불확실성이 크다.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 모두 신고를 기준으로 집계된다. 출생신고는 출생 1개월 이내에 하게 돼 있어 실제 출생일과 신고일 간 시차가 작지만, 혼인신고는 신고자가 임의로 하게 돼 있다. 과거에는 혼인신고 시 청약·대출 등 불이익으로 출산 시까지 혼인신고를 미루는 경우가 많았는데, 올해 들어 혼인신고에 따른 불이익이 대부분 해소됐다. 혼인신고를 미뤄야 할 이유가 사라지면서 실제 혼인보다는 기존에 혼인한 부부들의 신고가 늘었을 수 있다. 따라서 혼인이 늘면 이듬해 출생아도 늘던 패턴이 올해부턴 깨질 가능성이 크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실제 혼인과 혼인신고가 둘 다 늘었을 수 있지만, 그동안 미뤄졌던 신고가 늘어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며 “여기에 30대 초반 인구 증가, 코로나19 유행기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신고일수 이틀 증가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출생아 수는 2~3분기 흐름이 4분기까지 이어진다는 전제로 올해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출생아 증가가 합계출산율 반등을 의미하진 않는다.
임 과장은 “아직 4분기가 남아 있기 때문에 판단하긴 이르지만, 0.6명대로 감소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장래인구추계에서 예측됐던 것보다는 좋은 상황이지만, 근본적으로 합계출산율이 오르지 않으면 30대 초반 인구가 감소하는 시기에 출생아도 다시 감소할 것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출생아 수 변화보다는 합계출산율 흐름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