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수출규제에 대비하기 위해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사업에 중소기업 55곳이 최종선정됐다. 이들 기업에는 최대 182억 원의 지원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심사결과 최종적으로 중소기업 55개사가 뽑혔다고 9일 밝혔다. 강소기업 100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 육성 로드맵인 ‘스타트업 100, 강소기업 100, 특화선도기업 100 프로젝트’ 중 첫 번째 프로젝트다. 신청기업 1064곳 중 55곳이 최종적으로 지명을 받았다.
중기부는 심사과정에서 일반국민의 참여를 받기도 했다. 최종평가는 지난 5일 대국민 공개평가 방식으로 진행됐다. 후보 강소기업의 발표, 선정심의위원의 질의응답 등 평가과정을 모두 공개했으며, 공개모집을 통해 선발된 97명의 국민심사배심원단이 평가에 참여해 국민들의 시각이 반영될 수 있도록 했다.
중기부는 이번 선정과정에서 당초 목표의 절반가량인 55곳만 가려뽑았다. 소재ㆍ부품ㆍ장비 국산화의 필요성, 미래 신산업 창출에 기여 가능성 등을 엄격하게 평가해 기준에 못 미친 곳이 많았다는게 중기부 측 설명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재차 공모를 통해 내년 상반기 중 나머지 45개사를 추가로 추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55개 강소기업 중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는 △부품 22개(40%) △소재 17개(31%) △장비 16개(29%) 순으로 선정됐다. 기술 분야에서는 △전기·전자 16개(29.1%) △반도체 10개(18.2%) △기계금속‧디스플레이 각 8개(각 14.5%) △자동차 7개(12.7%) △기초화학 6개(10.9%) 기업이 선정됐다.
상장기업이 17개고 비상장 기업은 38개로 집계됐다. 유가증권시장에 공개되지 않은 혁신형 중소기업이 대거 발굴됐다는 것이 중기부 측 설명이다.
매출 300억원 이하의 중소기업은 전체의 47.3%(26개)로 절반 가량을 차지했으며, 선정기업의 80%(44개)가 수요기업 등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추천된 기업들이었다.
뽑힌 기업들은 다른 제조업체들보다 기술혁신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기술개발 인적자원이 14.7명으로 중소제조업(3.3명) 대비 4.5배, 평균 특허권이 42개로 7.9배(중소제조업 5.3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R&D)투자(R&D 집약도)가 6.1%로 3.8배(중소제조업 1.6%)로 조사됐다.
인적관리도 우수했다. 강소기업 직원의 평균 연봉은 4350만 원으로 중소기업 평균(3595만 원)에 비해 21% 높았다. 평균 근속연수 또한 5.9년으로 중소기업 평균(3.0년)보다 2배 가까이 길었다.
선정된 강소기업에게는 회사별로 5년간 최대 182억 원이 지원된다. △연구개발(R&D) △벤처투자 △사업화 자금 △연구인력 △수출 △마케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대중소 상생협의회'를 통해 수요 대기업과 분업적 상생협력을 통해 수요-공급 기업 간 공동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선정된 기업에 대한 관리도 이뤄진다. 중기부는 상시 모니터링과 매년 사후관리를 실시해 성과평가 결과가 미흡하거나 프로젝트의 계속 수행이 곤란한 경우(요건 결격, 부도‧폐업‧영업중단‧상장폐지 등) 강소기업 선정을 취소할 방침이다. 최종 후보 강소기업에 올랐으나 미선정된 기업은 대국민 공개 평가까지 받은 우수한 기업인만큼 중기부 R&D 지원사업에 3년간 우대 지원한다. 중기부 관계자는“소재‧부품‧장비 국산화에 대한 국민적 열망을 담아 선정된 기업들이 좋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