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전력 등이 보유한 전력 사용량 정보 중 공공재 성격의 데이터를 공개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가칭 ‘전력 빅데이터 활용 센터’를 설립하고 전기 소비자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도 마련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전과 함께 26일 ‘전력분야 빅데이터 활용 컨퍼런스’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채희봉 산업부 에너지산업정책관은 기조연설을 통해 “AMI의 출현으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측정되면서 더 많은 정보가 수집되고 축적될 것”이라며 “전기 소비 데이터가 전력회사, 전기소비자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개발이 필요한 기업, 학술적 연구가 필요한 연구자 등 다양한 필요를 가진 수요자의 공공재로 사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채 정책관은 또 “전기 소비 데이터는 전기 소비자의 다양하고 민감한 정보를 담고 있다”면서 “다양한 주체가 정당한 방법과 절차에 의해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합리적으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MI(지능형전력계량인프라)는 소비자의 전기 사용량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력회사에 전달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양방향 전력량계와 통신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산업부는 이날 전기 사용 데이터가 전기소비자의 이익을 위해 적법하게 관리되고, 공공재적인 성격을 가진 정보가 소비자의 권리 침해 없이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우선 전기 소비 데이터 중 개인 정보와 관계없고, 민간의 수요가 있는 공공재 성격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개방하기로 했다. 공공과 민간의 보다 적극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공공재 성격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의 공익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가칭)전력 빅데이터 활용 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이 센터에는 한전을 포함해 관련 기관이 공동 참여하게 되며 공공재 성격의 정보로 가공되는 기준과 과정, 공개 절차, 프라이버시 보호, 관리비용 부담 등의 기준을 제정하고, 이를 근거로 운영이 이뤄질 예정이다.
여기서 공공재 성격의 데이터란 한전과 민간영역이 보유한 전력 사용량 정보 중 경제ㆍ사회ㆍ문화 등 공공적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예컨대 개인정보 제공 동의를 받은 경우 개인의 신상이 노출되지 않는 집합 정보, 경제ㆍ산업 동향, 휴일ㆍ여가시간 활용 패턴, 소득과 전기소비 상관관계 등을 담은 정보다.
센터는 또 에너지 컨설팅, 수요 반응, 에너지 효율 관리 등 다양한 신(新)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역별ㆍ용도별ㆍ시간대별 집합적 소비 정보, 전국 누진제 요금부담 분포 등과 같은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아울러 AMI 보급도 전기 소비자의 정보 접근과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면서 AMI가 생산하는 실시간 정보가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시스템을 구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