多事多難한 올해 성장률 전망

입력 2015-06-08 09: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KDI·금융연 나란히 경제전망 이색행보

올해 경제성장 전망은 유독 다사다난하다. 미약한 경기회복세, 미국 연내 정책금리 정상화, 중국의 경기둔화, 엔저 등 어느 때보다 높아진 불확실성과 함께 정치적 역학성도 고려하면서 전망 기관들이 최근 이례적 행보를 보인 것이다.

8일 경제계에 따르면 국내 양대 경제연구소라고 할 수 있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금융연구원(KIF)은 지난달 경제전망을 두고 이색 행보를 보였다.

먼저 금융연은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하기로 한 5월 13일을 이틀 앞두고 전격 일정을 한달 후로 연기했다. 5월 말 발표 예정이었던 4월 경제지표가 1분기 추세와 다르게 호전될 가능성 때문이란다. 금융연은 정기적으로 4월 말~5월 초와 10월 말쯤 두번 경제전망을 하는데 이번처럼 전망 시기를 미룬 적은 과거에 한번도 없었다.

KDI의 최근 경제전망도 장고(長考)의 결과물이다. KDI는 지난달 20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로 기존보다 0.5%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특이한 점은 구조개혁이 가시적 성과를 내고 확장적 통화·재정정책이 뒷받침됐을 때라는 3가지 전제를 가정해 수치를 내놨다는 것이다.

통상 전망기관들은 세계성장률, 환율, 유가 정도만 전제를 달고 중립적인 예상치를 발표한다. KDI가 올해 성장률을 2%대로 진단했음에도 2%대라고 공식적으로 내놓지 못한 것에 대해, 3가지 전제조건 시행의 중요성과 3.0% 달성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KDI는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KDI가 전망기관으로서의 객관성과 일관성을 잃고, 경기부진과 세수부족으로 골머리를 앓는 정부의 요구대로 3%대를 지켜줬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연은 오는 17일(잠정)에 현 3.7%인 올해 성장률 잠정치를 하향 조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금융연이 2%대로 낮춘다면 한국경제의 저성장 우려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결국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기준금리(현 1.75%) 인하 요구 목소리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금융연의 전망치가 3.1% 이상일 경우에는 심리적 마지노선이라고 할 수 있는 3%대에 대한 확신이 실린 것으로 그나마 경기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이밖에 3.0%로 발표되면 올해 성장률이 2%대일지 3%대일지 애매할 정도로 경제상황이 안갯속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롤 프로리그 이적시장, 한국 선수들의 ‘컴백홈’ 러시 시작될까 [딥인더게임]
  • 챗GPT, 1시간 만에 대규모 접속 장애 복구…오픈AI "원인 조사 중"
  • 최강록도 에드워드 리도 합류…‘냉부해2’가 기대되는 이유 [해시태그]
  • "찐 팬은 아닌데, 앨범은 샀어요!"…요즘 아이돌 앨범, 이렇게 나옵니다 [솔드아웃]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EU 승인 임박…연내 합병 가시화
  • 북한, GPS 교란 도발…선박ㆍ항공기 등 운항장애
  • '트럼프 효과 지속'…비트코인 사상 첫 7만7000달러 돌파
  • 더위에 한 박자 늦은 단풍…도심에서 즐겨볼까
  • 오늘의 상승종목

  • 11.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06,436,000
    • -0.05%
    • 이더리움
    • 4,242,000
    • +4.07%
    • 비트코인 캐시
    • 531,500
    • +2.61%
    • 리플
    • 766
    • +0.39%
    • 솔라나
    • 277,100
    • +0.11%
    • 에이다
    • 611
    • -1.45%
    • 이오스
    • 654
    • +0.15%
    • 트론
    • 224
    • -0.44%
    • 스텔라루멘
    • 140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550
    • +0.28%
    • 체인링크
    • 18,820
    • +2.34%
    • 샌드박스
    • 367
    • +1.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