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컨설팅 업체 유라시아그룹이 올해 최고의 글로벌 위험 요인으로 조 바이든 차기 미국 정권을 꼽았다.
5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유라시아그룹은 전날 ‘2021년 세계 10대 리스크’를 발표하고 1위에 ‘46’을 꼽았다. 46은 46대 미국 대통령 취임이 임박한 조 바이든 당선인을 의미한다. 지난해 미 대선을 위험 요인 1위로 꼽은 유라시아
# “유럽이 ‘하나를 위한 모두(All For One)’라는 정신을 간절히 필요로 할 때 너무 많은 국가가 ‘오직 나만 위한다(Only For Me)’라는 자세로 임하고 있다.” 이탈리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신음하던 올 3월, 독일과 프랑스 등 역내 국가들이 이탈리아로의 마스크 수출을 금지하자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맞아 인류는 특별히 중요한 선택의 갈림길에 섰다. 전체주의적 감시체제로 향할 것인지, 시민사회 권한 강화와 연대의 길로 갈 것인지 우리는 힘들고 중요한 선택을 해야 한다.”
‘사피엔스’, ‘호모데우스’ 등을 집필한 유명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44) 예루살렘 히브리대 교수는 최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리더십의 공백을 메운 건 기업인들이었다.
가장 많은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한 미국에서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가 전염병 ‘투사’를 자처하며 전면에 나섰다.
일찌감치 전염병의 위험성을 경고했던 게이츠는 전 세계를 향해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았고, 백신 및 관련 기술 개발에 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에 글로벌 리더십이 아예 실종되면서 세계가 마치 흑사병이 유행했던 중세시대처럼 암울한 21세기를 살고 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4월 말 “세계 강대국들의 리더십 부재와 국제사회의 분열이 코로나19와의 전쟁을 더욱 어렵게 하고 빈곤국에 대한 지원을 불충분하게 만들고 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전례 없는 사태로 글로벌 리더십의 민낯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과학과 금융, 교육, 대중문화에서 심지어 윤리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 영역에서 세계의 리더임을 자부했던 미국은 정작 코로나19 사태에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며 아무 소용없는 ‘중국 원죄론’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중국은 초기 대응 실패와 정보 은폐로 코
“중국 바이러스다.” “미국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되었다.”
미국과 중국이 코로나19 발생 책임을 서로에게 떠넘기며 자주 내뱉는 발언이다. 가짜뉴스가 아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늦장 대응으로 수만 명의 사망자를 낳았다는 폭풍 비판을 모면하기 위해 계속해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중국 바이러스임을 강조한다. 반면에 중국은 외무부에서 공식적으로 미국이 코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주요 선진국들을 강타하면서, 국제사회를 이끄는 강력한 리더가 사라진 ‘G-제로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12월 말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는 빠른 속도로 확산, 불과 3개월 만에 전 세계 50만 명이 넘는 사람을 감염시켰다. 26일(현지시간)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집계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마침내 관세 폭탄을 터뜨리면서 총성 없는 무역전쟁이 막을 올렸다. 트럼프가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우며 사실상 무역전쟁을 선포한 날, 미국을 제외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11개 회원국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서명, 자유무역의 기치를 높이 올려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
“중국발 글로벌 경제·금융시장 혼란이 갈수록 확산하는데도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할 리더가 없다.”
국제사회를 이끄는 강력한 리더가 없는 ‘G제로’ 시대의 부작용이 본격적으로 표면화하고 있다는 성토가 나오고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이끄는 중국 정부가 좀처럼 경기회복의 실마리를 잡지 못하는 가운데 중심을 잡아주어야 할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앙겔
1989년 11월 9일, 동서 냉전의 상징이었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동구 공산권의 붕괴, 소련의 해체와 냉전 체제의 붕괴로 이어졌다.
그로부터 26년이 흐른 지금. 독일은 통일됐고, 미국과 대립각을 세웠던 소련은 해체됐으며 중국이 부상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유럽에선 단일 국가를 지향하는 유럽연합(EU)과 단일 통화를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