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와 반한 감정 직격탄 맞은 일본 수출 농가

입력 2014-07-16 08: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반기 대일본 신선농산물 수출규모 22%↑ 금액 8.7%↓

계속된 엔저 기조와 일본 내 반한 감정으로 올 상반기 신선농산물의 일본 수출 채산성이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도 엔저의 영향으로 대 일본 농식품 수출 물량은 늘었지만 금액 기준으로는 줄어 농식품 일본 수출전선에 빨간불이 켜졌다. 이에 정부는 16일부터 일본 최대 벤더 전시회 참가로 침체한 대일본 농식품 수출의 활로를 개척할 방침이다.

16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 1월부터 6월까지 대일본 신선농산물 수출 물량은 5만6181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7% 늘었다. 하지만 수출금액은 1억3747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 감소했다. 그동안 대일본 수출을 주도했던 화훼류 수출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8%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다음으로 가금육류가 조류인플루엔자(AI) 영향으로 27.4% 감소했고 김치(-12.7%), 과실류(-7.9%) 등의 감소폭도 컸다.

가공식품 중에서는 유제품(-30.6%), 면류(-23.0%)의 수출부진이 나타났다. 전체 대일본 농식품 수출금액은 가공식품 중 주류와 연초류의 수출 증가폭이 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증가한 6억5792만달러를 기록했다.

문제는 주류와 연초류는 국내 농산물을 이용하기보다는 수입 농산물을 가공해 수출하기 때문에 실제 농가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를 고려하면 우리 농식품 대일본 수출은 엔저의 직격탄을 맞고 있어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일본 내 부는 반한감정이 심상치 않아 대일본 수출 농가가 당분간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커졌다.

그동안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한국 농식품 수출이 증가세를 보이다가 엔저의 영향으로 지난해 수출실적이 12억8700만달러로 전년보다 8.6% 감소한 것은 일본이 우리나라 제1의 농식품 수출시장이라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침체한 일본 농식품 수출시장의 활로 개척을 위해 16일부터 31일까지 닛폰악세스, 이토추, 고쿠부, 시즈오카메이칸 등 일본 대형벤더가 주최하는 전시회에 한국관을 구성해 적극적으로 참가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금리인하 사이클 시대 개막…‘IT·바이오’의 시간 [美 빅컷과 경기불안]
  • '수도권 철도 지하화' 경쟁 뜨겁다는데…부동산 시장은 '냉랭' [가보니]
  • 2부리그 코번트리에 진땀승…'손흥민 교체 출전' 토트넘, 카라바오컵 16강행
  • 단독 기후동행카드 협약 맺은 지 오랜데…7곳 중 4곳은 아직 ‘이용 불가’
  • 연휴 마친 뒤 회복한 비트코인, 6만1000달러 선 돌파 [Bit코인]
  • 이찬원이 밀고 영탁이 당겼다…추석특집 단독쇼 순위는?
  • 과즙세연에 '좋아요' 누른 스타강사는 정승제…"실수로 눌러" 해명
  • 오늘의 상승종목

  • 09.19 14: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965,000
    • +2.39%
    • 이더리움
    • 3,228,000
    • +3.63%
    • 비트코인 캐시
    • 461,000
    • +9.35%
    • 리플
    • 786
    • +1.16%
    • 솔라나
    • 185,400
    • +5.4%
    • 에이다
    • 466
    • +3.56%
    • 이오스
    • 662
    • +2.64%
    • 트론
    • 201
    • +0%
    • 스텔라루멘
    • 129
    • +2.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750
    • +5.2%
    • 체인링크
    • 14,820
    • +4.44%
    • 샌드박스
    • 351
    • +3.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