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 “한국형 헤지펀드 진입 장벽 낮춰야”

입력 2011-05-24 11: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소투자기준·운용업자 범위 등 현실성 없어

금융당국의 연내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 추진에 관련업계가 반발하고 나섰다. 신속한 제도 도입에는 환영의 뜻을 나타냈지만, 진입규제 장벽이 높아 초기 시장형성이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해 향후 결과가 주목된다.

24일 금융당국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연내 헤지펀드 도입을 추진하면서 최소 투자기준을 10억원으로 설정, 초기 안정성을 도모키로 했다.

하지만 증권사를 포함한 금융투자업계는 진입장벽이 높아 시장형성에 문제점을 나타낼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지난 23일 열린 헤지펀드 관련 민관 합동 세미나에 참석한 서정두 한국투자신탁운용 글로벌운영본부장은 “10억원을 헤지펀드에 투자할 수 있으려면 금융자산이 100억원 이상 돼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시장이 형성되더라도 투자를 할 수 있는 개인의 수가 제한돼 초기시장형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헤지펀드 투자금액이 10억원 상무는 “투자자가 10억원을 헤지펀드에 투자하려면 금융자산이 100억원정도 돼야 한다”며 “투자 제한 기준이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한규봉 가울투자자문 대표이사도 “최소 투자금액을 5억~10억원 이상으로 정하는 것은 헤지펀를 사실상 하지 말자는 것”이라며 “수백억원에 이르는 헤지펀드 구성이 금액을 낮춰서 투자자수를 늘리면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일각에서 우려하는 이른바 ‘묻지마 투자’가 이뤄질 경우 다시 규제를 하나씩 도입하면 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공개된 운용업자의 범위도 향후 논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주요 자산운용업계와 증권업계는 외국계 자산운용사의 진출이 허용되면 완전경쟁시장이 형성되면서 시너지가 발휘될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이미 국내보다 헤지펀드가 발달해 사업 노하우가 있는 외국회사들로 인해 국내 자산운용업계가 큰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함께 나오고 있는 것.

A증권사 관계자는 “헤지펀드 시장 활성화를 위해 외국계 자산운용사의 국내진출은 허용하면서도 투자금액기준 설정시에는 안정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B증권사 관계자는 “헤지펀드가 국내 자본시장에서 연착륙을 하기 위해서 ‘시장 활성화와 안정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쫓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안정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면 도입시기를 좀 더 늦추더라도 업계와 충분한 논의가 더 이뤄져야 하고, 빠른 헤지펀드 도입을 통해 시장 활성화를 도모한다면 투자기준을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우리나라는 법을 만들기가 어렵다”며 “시행령 개정을 통해서라도 먼저 할 수 있는 부분부터 하라고 지시했다”며 헤지펀드 도입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금리인하 사이클 시대 개막…‘IT·바이오’의 시간 [美 빅컷과 경기불안]
  • '수도권 철도 지하화' 경쟁 뜨겁다는데…부동산 시장은 '냉랭' [가보니]
  • 2부리그 코번트리에 진땀승…'손흥민 교체 출전' 토트넘, 카라바오컵 16강행
  • 단독 기후동행카드 협약 맺은 지 오랜데…7곳 중 4곳은 아직 ‘이용 불가’
  • 연휴 마친 뒤 회복한 비트코인, 6만1000달러 선 돌파 [Bit코인]
  • 이찬원이 밀고 영탁이 당겼다…추석특집 단독쇼 순위는?
  • 과즙세연에 '좋아요' 누른 스타강사는 정승제…"실수로 눌러" 해명
  • 오늘의 상승종목

  • 09.19 14: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852,000
    • +2.17%
    • 이더리움
    • 3,224,000
    • +3.33%
    • 비트코인 캐시
    • 460,000
    • +9.11%
    • 리플
    • 784
    • +0.64%
    • 솔라나
    • 185,000
    • +5.11%
    • 에이다
    • 466
    • +3.33%
    • 이오스
    • 662
    • +2.64%
    • 트론
    • 201
    • -0.5%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550
    • +4.88%
    • 체인링크
    • 14,830
    • +4.22%
    • 샌드박스
    • 351
    • +3.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