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증시 오후]혼조...日, S&P 악재 떨치고 급등

입력 2011-04-27 16: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中 4거래일 연속 하락...긴축 우려 지속

아시아 주요 증시가 27일 혼조세를 연출했다.

일본증시는 신용등급 전망 하향에도 급등했고 중국증시는 긴축과 실적우려로 하락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일 대비 133.51포인트(1.39%) 상승한 9691.84로 2주래 최고 수준으로 뛰어 올랐다.

토픽스지수는 6.23포인트(0.75%) 오른 839.87를 기록했다.

이날 일본증시는 실적호조와 미국의 소비심리 개선으로 상승했다.

기업들의 생산재개 소식도 호재로 작용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경제산업성이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지진 피해를 입은 제조업체 공장의 90%가 오는 7월까지 생산을 재개할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국제신용평가업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신용등급 전망 강등도 증시 상승세를 누르지 못했다.

S&P는 이날 20조~50조엔에 달한 대지진 복구 비용으로 일본의 재정적자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신용등급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조정했다.

올 들어 11%나 빠진 캐논은 노무라증권이 투자전망을 '긍정적'으로 상향하면서 7% 급등했다.

다이하츠 자동차는 예상치를 상회한 실적으로 6.5% 올랐고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파누크는 1분기 순익이 22% 증가했다는 소식으로 3.6% 상승했다.

중국증시는 4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일 대비 13.57포인트(0.46%) 내린 2925.41로 장을 마쳤다.

미국발 증시 호재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에 따른 정부의 긴축우려로 투심은 위축됐다.

중국 부동산 업체 차이나반케와 폴리리얼이스테이트그룹은 각각 1.7%, 1.9%씩 내렸다.

정부가 생애 첫 주택구입에 대한 의무지불금을 낮출 것이라는 언론보도의 영향이다.

풍력업체인 시노벨윈드그룹은 실적악화로 4.8% 급락했다.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전일 대비 101.11포인트(1.13%) 상승한 9049.25를 기록했다.

오후 4시 23분 현재 싱가포르증시의 ST지수는 0.32포인트(0.01%) 떨어진 3171.51, 홍콩증시의 항셍지수는 2만3850.20로 전일대비 157.18포인트(0.65%) 떨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 고마워요”…버림받은 ‘통일미’, 아프리카서 화려한 부활 [해시태그]
  • 하루 1.8끼 먹고 소득 40% 생활비로 쓰지만…"1인 생활 만족" [데이터클립]
  • 검찰, ‘경기도 법인카드 사적 유용’ 이재명 불구속 기소
  • 울산 현대차 공장, 차량 테스트 중 연구원 3명 사망
  • 내년 3기 신도시 8000가구 분양 예정…실현 가능성은 '과제'
  • 증시서 짐싸는 개미들 “정보 비대칭에 루머·음모론 지쳐”
  • 서울지하철 노조, 내달 6일 총파업 예고…3년 연속 파업 이어지나
  • 삼성 ‘호암 이병철’ 37주기 찾은 이재용…‘침묵’ 속 초격차 경쟁력 고심
  • 오늘의 상승종목

  • 11.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501,000
    • +1.45%
    • 이더리움
    • 4,343,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623,000
    • -2.2%
    • 리플
    • 1,516
    • -3.99%
    • 솔라나
    • 330,600
    • -1.28%
    • 에이다
    • 1,020
    • -2.02%
    • 이오스
    • 901
    • -5.56%
    • 트론
    • 281
    • -1.06%
    • 스텔라루멘
    • 319
    • -2.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100
    • -0.31%
    • 체인링크
    • 20,460
    • -4.03%
    • 샌드박스
    • 479
    • -5.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