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기술력 강화 집중…시장 지배력·수익성 동시 강화 [혁신경영]

입력 2024-10-28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현대모비스가 이달 초 개최한 '2024 R&D 테크데이' 전시 현장 모습. (사진제공=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이달 초 개최한 '2024 R&D 테크데이' 전시 현장 모습. (사진제공=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미래 모빌리티 기술 혁신을 이어가며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도약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미래 몹리리티 분야로 체질 전환에 속도를 내며 전동화,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등 분야의 기술 우위를 점하기 위한 각축전이 펼쳐지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해 다양한 고객사에 최적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합한 솔루션으로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과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가 집중하고 있는 대표적인 분야는 ‘전동화’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폭스바겐으로부터 수조 원 대 배터리시스템 수주에 성공하며 전동화 역량을 입증하기도 했다.

전동화 역량 강화를 위해 지난해 말에는 현대차그룹 의왕연구소 내에 전동화 연구동을 마련했다. 전동화 연구동은 연구개발(R&D)을 포함해 시험과 평가, 품질분석 등 전동화 핵심 부품 개발을 모두 담당하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현대모비스는 운전자 생체 신호를 분석하는 ‘스마트 캐빈 제어기’, 차량 대화면이 위아래로 말리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등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지난해에는 제자리 회전과 크랩 주행 등이 가능한 전동화 혁신 기술인 ‘e-코너 시스템’ 실증차 일반도로 주행에도 성공한 바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 같은 경영 전략을 기반으로 글로벌 수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미래 먹거리 확보와 수익성을 동시에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해 현대모비스는 안정적인 양산 품질과 현지 생산 거점 운영, 고객사 신뢰 확보 등을 통해 해외 완성차 업체 대상 핵심 부품 수주액 92억2000만 달러(약 12조2000억 원)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당초 수주 목표액을 70% 이상 초과 달성한 수치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기술 혁신을 이루는 가운데도 품질, 안전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우수 인재 확보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며 글로벌 시장 지배력과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대통령, 고개 숙여 사과...“모든 것이 제 불찰”
  • '트럼프 랠리 터졌다' 비트코인, 7만6000달러 '우뚝'…하루 만에 또 사상 최고 경신 [Bit코인]
  • 오늘은 '입동' 겨울의 첫 절기…입동 뜻은?
  • 돌아온 붕어빵의 계절…올해 가격은?
  • 김범석, 쿠팡 상장 후 첫 주식 매도…“세금납부 목적”
  • 단독 은행 최초 ‘中企 매칭서비스’ 역사속으로…국민銀, ‘비즈매칭’ 7년 만에 종료
  • 신탁형·일임형·중계형?…ISA 계좌, 어떤 유형이 내게 유리할까 [경제한줌]
  • “밤사이 당국 개입 보였지만” 원·달러 환율, 2년 만에 개장가·고점 ‘최고’
  • 오늘의 상승종목

  • 11.07 15: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02,920,000
    • -0.2%
    • 이더리움
    • 3,882,000
    • +8.07%
    • 비트코인 캐시
    • 517,000
    • -1.24%
    • 리플
    • 768
    • +3.36%
    • 솔라나
    • 258,500
    • +0.51%
    • 에이다
    • 510
    • +1.39%
    • 이오스
    • 633
    • +2.1%
    • 트론
    • 223
    • -0.89%
    • 스텔라루멘
    • 135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100
    • -0.43%
    • 체인링크
    • 17,050
    • +4.54%
    • 샌드박스
    • 354
    • +1.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