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진해신항 1단계 예타 통과…7.9조 투자ㆍ2023년 착공

입력 2021-12-28 16:08 수정 2021-12-28 16: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32년 세계 TOP3 스마트 허브항만 도약

▲부산항 진해신항 조감도. (사진제공=해양수산부)
▲부산항 진해신항 조감도. (사진제공=해양수산부)
부산항 진해신항 1단계 개발사업이 28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7조9000억 원을 투입해 2031년까지 컨테이너부두 9선석을 완공하면 부산항이 연간 3200만TEU를 처리할 수 있어 세계 TOP3 스마트 허브항만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8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부산항을 글로벌 물류거점 허브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 중인 부산항 진해신항(1단계) 개발사업이 이날 예타를 통과했다.

진해신항 1단계는 총 7조9000억 원을 투입해 대규모 컨테이너부두 9선석(2029년 3선석, 2031년 6선석), 방파제 1.4km, 호안 8.1km 등의 규모로 개발된다. 특히 수심이 23m로 3만TEU급 초대형 선박 상시 입‧출항이 가능하다.

1단계 사업이 정상 추진되면 2032년부터는 부산항에서 연간 3200만TEU를 처리할 수 있어 상해(4350만TEU, 2020년 기준), 싱가포르(3687만TEU)에 이어 세계 TOP3 스마트 허브항만으로 도약한다.

▲부산항 진해신항 개발계획. (사진제공=해양수산부)
▲부산항 진해신항 개발계획. (사진제공=해양수산부)
또 약 8만3000여 명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물론 동남권 메가시티로 성장할 수 있는 핵심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컨테이너부두의 모든 영역에 완전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항만이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항만운영으로 유발되는 각종 안전사고와 소음ㆍ미세먼지 등 환경문제도 크게 개선한다.

해수부는 내년 예산으로 진해신항 착수 소요예산 145억 원을 확보했고 기초조사용역을 시작으로 2023년에 착공해 2031년까지 진해신항 1단계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아울러 6선석 규모의 2단계 사업(총 사업비 4조7283억 원)도 1단계에 이어 추진한다.

김창균 해수부 항만국장은 “최근 각국의 항만물동량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진해신항 개발계획이 확정됨으로써 부산항의 항만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유니클로부터 K리그까지…온 세상이 '헬로키티' 천국? [솔드아웃]
  • 협박과 폭행·갈취 충격 고백…렉카연합·가세연, 그리고 쯔양 [해시태그]
  • 갤럭시Z 플립6·폴드6, 사전판매 시작…온·오프 최저가는 어디?
  • 이젠 최저임금 1만 원 시대…내년 1.7% 오른 1만30원 확정
  •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 반감기 시기로 회귀…“매도 주체 채굴자”
  • 끊이지 않는 반발…축구지도자협회, 홍명보 선임한 정몽규에 사퇴 요구
  • 일본 ‘방위백서’…20년 연속 ‘독도는 일본 땅’ 기술
  • 200년 만의 '극한 폭우', 깨어보니 이웃집이 사라졌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667,000
    • +1.92%
    • 이더리움
    • 4,441,000
    • +2.12%
    • 비트코인 캐시
    • 524,000
    • +5.82%
    • 리플
    • 717
    • +7.66%
    • 솔라나
    • 197,300
    • +2.02%
    • 에이다
    • 592
    • +4.04%
    • 이오스
    • 756
    • +2.86%
    • 트론
    • 196
    • +1.03%
    • 스텔라루멘
    • 144
    • +1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900
    • +3.14%
    • 체인링크
    • 18,320
    • +4.33%
    • 샌드박스
    • 440
    • +3.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