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주인 맞은 대한전선, 광케이블 투자 시동

입력 2021-08-04 08: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당진공장ㆍ쿠웨이트 법인에 광케이블 설비 신규 구축…내년 상반기 가동

▲대한전선 당진공장 (사진제공=대한전선)
▲대한전선 당진공장 (사진제공=대한전선)

대한전선이 호반 그룹으로 편입된 후 첫 투자로 광케이블 사업을 선택했다.

대한전선은 4일 충남 당진과 쿠웨이트에 광케이블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기존에 영위하던 동통신 케이블 사업과의 시너지를 통해 통신 분야의 성장을 도모하고 종합 통신 케이블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대한전선은 최근 투자심의위원회를 열고 충남 당진공장 내 통신케이블 공장에 광케이블 설비를 구축하기로 확정했다. 내년 상반기 내 제품 양산이 가능하도록, 이달 중 설비 발주를 완료한다.

쿠웨이트의 유일한 광케이블 생산법인인 ‘쿠웨이트 대한’도 설비 구축에 속도를 낸다. 쿠웨이트시티의 미나 압둘라 산업단지 내에 공장 부지를 이미 확보해 놓은 상태로, 3분기 내 공장 착공 및 설비 발주를 속행해 내년 상반기에 시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대한전선은 당진공장과 쿠웨이트 대한, 남아공의 M-TEC에서 약 500만 f.km(파이버 킬로미터)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단계별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당진공장은 미국과 아시아, 쿠웨이트 대한은 중동 및 유럽, M-TEC는 아프리카 시장을 중점적으로 공략한다.

세계 광케이블 시장 규모는 올해 약 62억 달러에서 2025년 약 80억 달러로 성장하며 6.4%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북미, 유럽의 수요가 전체 시장의 절반을 차지한다. 국내 광케이블 도입률이 80%에 달하는 것에 비해, 미국 17%, 영국 3.9% 등 북미 및 서유럽의 도입률이 현저히 낮기 때문이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2012년까지 광케이블 사업을 선도해 왔던 만큼, 기존에 확보한 인적 ㆍ물적 인프라를 활용해 빠른 속도로 성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며, “통신 케이블의 양 축인 동통신과 광통신이 모두 가능한 종합 통신케이블 업체로서, 광케이블의 주요 수요처가 될 북미 및 유럽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나가겠다”라고 의지를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판매대금 지연·빼가기가 관행? 구영배 근자감이 火 자초 [제2의 티메프 사태 막자]
  • 에스파→염정아 이어 임영웅까지…이들이 '촌스러움'을 즐기는 이유 [이슈크래커]
  • 중고거래 판매자·구매자 모두 "안전결제 필요" [데이터클립]
  • 커지는 전기차 포비아…화재 보상 사각지대 해소는 '깜깜이'
  • 본업 흥한 셀트리온, ‘짐펜트라’ 싣고 성장 엔진 본격 가동
  • 청년 없으면 K-농업 없다…보금자리에서 꿈 펼쳐라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⑤]
  • 'NEW' 피프티 피프티로 돌아온다…키나 포함 5인조로 9월 20일 전격 컴백
  • 음주 전동킥보드 혐의…BTS 슈가 "여지가 없는 제 책임, 머리 숙여 사과"
  • 오늘의 상승종목

  • 08.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8,577,000
    • -2.14%
    • 이더리움
    • 3,348,000
    • -5.42%
    • 비트코인 캐시
    • 446,500
    • -1.65%
    • 리플
    • 871
    • +19.97%
    • 솔라나
    • 207,100
    • -0.24%
    • 에이다
    • 463
    • -2.53%
    • 이오스
    • 640
    • -2.88%
    • 트론
    • 177
    • +0.57%
    • 스텔라루멘
    • 145
    • +9.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500
    • +1.68%
    • 체인링크
    • 13,630
    • -5.41%
    • 샌드박스
    • 339
    • -3.69%
* 24시간 변동률 기준